장상수 교수는 한·일 양국 인사관리 전문가로 손꼽힌다. 일본 게이오대학에서 석박사를 취득한 후 삼성경제연구소 HR(인사관리) 실장으로 10년간 일했고, 한국국고용노사관계학회 부회장,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회장을 맡았다. 2011년 퇴직 이후 일본 아시아대 경영학과 특임교수로 일하고 있다. 지난 7월 21일 주간조선은 일본에 있는 그와 40여분간 전화로 인터뷰했다. 그는 주간조선에 “인구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 노동인구 감소는 한 국가의 존속이 걸린 중차대한 문제”라면서 한·일 양국이 처한 위기를 강조했다.

장 교수는 한국의 깔때기형 인력구조와 관련, “회사의 존속과 발전을 위해서는 신입사원 채용은 꼭 필요하다”며 “신입사원을 채용하지 않는 것은 비즈니스를 하지 않겠다는 말과 같다”고 표현했다. 기업의 신입사원 기피 요인 중 하나는 고임금 노동자인 고령인구의 증가 때문이다. 그렇다면 기업의 인건비 부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그는 “정부와 사회가 돌봐야 한다”고 잘라 말했다. “기업은 죄가 없다. 기업은 돈벌이가 되면 사람을 채용하게 돼 있다. 수익구조가 도저히 안 맞으니까 신입사원을 채용하지 않는 거다. 노동자도 죄가 없다. 노동자는 대부분 자신이 처한 상황만 생각한다. 당연한 거다. 욕할 필요 없다. 정책을 세우고 의사결정을 하는 정치인들이 이 상황을 제대로 직시하고 사회구조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정부와 국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다.”

장 교수는 해법으로 일본의 ‘조성금’이나 ‘보조금’ ‘법인세 면제’를 예로 들었다. 무리하면서도 청년채용에 앞장서는 기업들에 충분한 보상을 해주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이 현재의 인력구조 문제를 기업의 문제로 몰아가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정부도, 국민도 기업에 대한 비판적 정서가 만연하다”며 “이런 정서가 한국 성장의 발목을 잡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청년채용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저성장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다. 그는 “현재 한국의 재정적자는 통계상으로는 좋은 편이다. 하지만 현재 재정적자가 건전하다고 소비를 줄이는 것이 상책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저성장 구조가 장기침체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돈을 풀어야 한다는 얘기다.

한·일 양국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다. 장상수 교수는 “일본은 역삼각형으로 치닫는 인구구조와 인력구조 문제를 굉장히 심각하게 보고 있는데, 한국은 이 문제에 대한 정치인들의 위기의식이 덜한 것 같다”고 우려를 표했다. “일본은 현재의 출산율로 갈 경우 인구가 2100만명까지 줄어든다는 통계도 있다. 일본과 한국은 사회구조가 전체적으로 깔때기형으로 치닫고 있다. 사회의 존망이 걸린 문제다. 아베 정권에 들어 일본은 ‘1억명 인구’를 가이드라인으로 잡고 사회 전체가 인구구조와 인력구조 정상화에 힘을 쏟고 있다. 한국도 정치계와 기업, 노동자가 합심해야 할 시기다.”

김민희 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