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으로 둘러싸인 자택에서 생각에 잠긴 송계환씨. ⓒphoto 김종호 조선일보 기자
수석으로 둘러싸인 자택에서 생각에 잠긴 송계환씨. ⓒphoto 김종호 조선일보 기자

“내가 돌 미친개이(돌에 미친 사람) 아닙니꺼!”

부산 부산진구 개금동 자택에서 만난 송계환(82)씨. 만나자마자 송씨는 자신을 그렇게 소개하면서 2층 구조의 양옥집 안으로 “들어오라”며 내부 나무계단을 걸어올라가 2층 자신의 방으로 안내했다. 2층에는 작은 마루가 있었고, 마루와 이어진 송씨의 방이 있었다. 마루와 방은 크고 작은 수석(水石)들로 가득했다. 송씨는 방에 앉음과 동시에 오동나무 상자에 보관 중이던 ‘돌’을 꺼내 들었다. “이게 오체석(五体石)이라고 하는 것”이라며 “이렇게 보면 ‘바위 위의 초가집’, 여기서 보면 ‘독수리 모양’….” 그는 하나의 돌을 여러 각도로 돌려가며 “하나의 돌이 5가지 형상을 ‘한몸’에 가지고 있다”며, “이런 것은 세상에 없는 것이며, 일본에 있긴 하지만 이것만큼 훌륭하지 않다”고 말했다. 돌은 그가 돌리는 대로 ‘삼형제도(島)’가 되고, ‘갯바위섬’이 되고, ‘김삿갓’이 되었다.

‘수석’이란 단어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수석의 한자식 표현을 두고 일본에서 건너왔다는 ‘水石’과 우리 것이라는 ‘壽石’ 등으로 논란이 많지만 그 두 단어 모두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했다. 자신은 영어식인 ‘viewing stones’도 괜찮은 표현이라고 했다. 뭐라고 불리든 중요하게 여기는 것 같지 않았다. 사람이 돌을 보면서 아름다운 감동을 받을 수 있다면 충분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그는 “사람이나 짐승 등을 닮은 돌이 형상석이며, 빨갛고 노랗고 알록달록한 것이 색채석이고…”라고 설명하다가 말을 멈췄다. 잠시 침묵이 흐른 뒤 “처음에는 산, 섬, 폭포가 나타난 돌을 하나씩만 갖추고 끝내려고 했는데 폭포가 구해지지 않고 자꾸 산이나 섬만 계속 모이더라”면서 “그러는 사이 돌이 모이고, 돌에 정이 들고, 그냥 돌에 빠져버린 거지”라고 했다.

송씨가 수석 수집을 시작하게 된 것은 50여년 전인 196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30대 초반의 나이에 부산시 문화계장이었던 그는 우리 나라 현대수석의 개척자로 알려진 초사(草史) 문용택씨와 교분을 갖게 된다. 초사는 당시 분재인으로도 유명한 인사였다. 그런 그가 부산시의 문화계장이었던 송씨와 친분을 맺게 된 것이다.

당시는 자동차가 귀했던 시절. 부산시청 문화계장으로 근무했던 그는 차량을 가지고 있어 수석을 찾으러 먼 곳으로 갈 때 차를 유용하게 쓸 수 있었다. 초사는 그런 송씨를 자주 찾았다. 송씨는 “당시 초사가 나를 끌어들였고, 나는 초사가 돌을 구하러 다닐 때마다 따라다니다가 돌의 세계에 빠지고 만 것”이라고 말했다. 초사는 그런 식으로 송씨와 함께 전국 곳곳을 돌며 귀한 돌들을 모았고 같은해 12월에는 대한수석회(大韓樹石會)가 만들어진다. 이듬해인 1967년 4월 초사는 개인 수석전시회를 연다. 이 전시회는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수석전시회로 알려져 있다. 이 전시회의 장소는 부산시 공보관. 송씨는 “전시회를 보기 위해 문 밖까지 줄이 이어지는 등 당시 수석이라는 새로운 문화현상이 일종의 신드롬을 불러일으켰다”고 말했다. 이후 각종 수석전시회가 이어지면서 당시 부산은 ‘수석의 메카’라고 불리기까지 했다고 한다.

송씨의 삶은 수석만이 이정표였다. 매년 인사 때마다 출세코스로 가기보다는 시간과 여유가 많은 부서를 원했다. 돌을 구하러 다닐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더 중요했고, 돌은 자신의 생활이 되었고, 삶이 되었다.

그렇게 10년가량의 세월이 지났다. 2남1녀의 자녀들이 태어나 자라기 시작했다. 송씨는 자녀 교육 등을 위해 미국으로의 이민을 결심했다. 하와이로 건너갔다. 3년을 살았다. 본토 버지니아주에서도 1년을 살았다. 그런데 미국에서 오래 살 수가 없었다. 송씨는 “자녀 교육이나 생활도 중요했지만 나에게는 ‘돌을 구할 수 있는 곳이냐, 아니냐’가 생활의 가장 큰 기준이었기 때문에 하와이와 버지니아에서 오래 살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캘리포니아 LA로 이주한다. 그곳에서 10년을 넘게 정착해 살았다. 자신이 기대하던 ‘돌’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캘리포니아는 돌, 자원 등의 보고였다. LA에서 차를 타고 주변 바다나 계곡, 강 등으로 돌을 구하러 줄기차게 다녔다. 말이 주변이지 한번 나서면 4박5일이 기본이고 길게는 일주일이 넘도록 다녔다. 때문에 일자리도 언제든지 시간을 낼 수 있는 파트타임 같은 일을 했고, 가게를 운영할 때는 직원들에게 몽땅 맡겨 놓고 길을 떠나기도 했다. 그는 “그렇게 다녔지만 좋은 돌 ‘명석’을 구하기는 결코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서너 번의 ‘원정’을 떠나도 하나의 좋을 돌을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바다에서는 그믐과 보름 등 물이 빠질 때를 기다리고 기다려 돌 찾기에 나섰고, 위험천만의 벼랑을 타고 내려간 강가에서 돌을 찾기도 했다. 곰이 자주 나타나는 지역이라 늘 목이 터져라 노래를 부르며 곰을 쫓아가며 돌을 찾아다녀야 했다. 한번은 허리를 숙여 돌을 한창 찾고 있는데 옆에서 총을 장전하는 소리가 들려 고개를 드니 장총을 든 한 백인이 “뭣 하느냐?”며 눈을 부릅뜨고 있었다. “돌 주우러 왔다”고 했더니 “여긴 내 땅이다, 미친 소리 하지 마라”는 싸늘한 답변만 돌아왔다. 그 백인은 “그렇다면 1시간의 여유를 줄 테니 돌을 찾으라”고 했고 생명에 위협을 느낀 송씨는 그 길로 줄행랑을 쳤다.

이 사건 이후 ‘이건 아니다’ 싶은 생각에 다시 그 백인의 집을 술 등 선물을 사들고 찾아가 자초지종을 설명했다. 수석 관련 책도 물론 들고 갔다. 가만히 듣고 있던 그 백인은 고개를 끄덕이더니 “나는 당신이 수달을 잡으러 온 줄 알았다”면서 “그런 일이라면 언제든지 내 허락 없이 들어와 돌을 찾아도 된다”며 흔쾌히 승낙했다고 한다.

사금이 나오는 지역에서는 사금 도둑으로 몰릴 뻔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간첩으로 몰리기 일쑤였다”며 웃었다. 그렇게 송씨는 돌을 모으고 또 모았다. 그는 15년가량의 미국 생활을 정리하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큰 것은 미국 자녀들에게 남겨 두고 왔는데도 집안 곳곳에는 수석들로 가득했지만 송씨의 돌을 찾기 위한 노력은 끊어지지 않고 계속됐다. 부산 태종대에서부터 남한강 등 전국 곳곳을 누비며 명석 수집을 이어갔다. 돌을 찾기 위해 인적이 드문 곳을 헤매다 보니 간첩으로 오인을 받은 경우가 한두 번이 아니었다.

(좌)송씨가 최고의 수석 중 하나라고 꼽은 아치섬(조도). (우) 대왕암.
(좌)송씨가 최고의 수석 중 하나라고 꼽은 아치섬(조도). (우) 대왕암.

“수석은 道, 세상에 알리고 싶을 뿐”

덕분에 그의 집안 마당과 테라스, 방안 할 것 없이 돌이 차고 또 찼다. 수석이 수천 개에 달했다. 돌 하나하나에는 돌의 형상이나 돌 안에 새겨진 문양 등에 따라 ‘알프스의 봄’ ‘비로봉’ ‘별밤’ ‘겨울 나그네’ ‘옥두꺼비’ 등 일일이 이름도 지어 좌대(座臺)에 잘 앉혀 두었다. 그는 “이름은 물론 어디서 어떻게 구한 것인지도, 아니 어떻게 만난 것인지 잊을 수가 있겠냐”고 했다. 그는 또 “돌은 돈을 가지고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면서 “돌을 사거나 팔 때 돈을 기준으로 자랑할 것이 아니라 돌을 제대로 보고, 제대로 느끼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나의 오래된 오디오 스피커 위쪽에 있던 돌 하나를 가져와 내밀었다.

손바닥만 한 크기의 돌 안에는 그림이 있었다. “자, 안에 뭐가 있는지 잘 보라”고 했다. 그러면서 설명이 이어졌는데 설명처럼 돌 안에는 한 사나이가 배를 타고 노를 젓는 문양이 또렷하게 보였다. 송씨는 “초조 달마대사가 배를 타고 양쯔강을 건너는 모습”이라고 했다. 영락없는 그런 모양이었다. 어떻게 돌 속의 문양과 그런 인문학적 상상력이 결합될 수 있었을까? 그는 “좋은 돌을 보는 것은 훌륭한 예술 작품을 보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했다.

송씨는 부산상고를 나와 부산대 상대를 졸업한 뒤 공무원이 됐다. 예술과 전혀 관계가 없었다. 그는 “나는 사람 그림도 제대로 못 그릴 정도로 미술에 소질이 없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돌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돌을 예술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생각했다. 그러면서 미술을 독학으로 공부하기 시작했다. 미국에 있는 동안 한국에서 구하기 어려운 미술 관련 전문 서적들을 사서 읽고, 미술 관련 역사도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수석과 관련된 일본 서적 등도 꾸준히 읽어 안목을 넓혔다. 그의 방 책장에는 원서로 된 ‘피카소’ ‘반 고흐’ 등 화가 관련 책들과 서양미술사 책들이 가득했다. 주변에서 열리는 미술 전시회도 빠짐없이, 그것도 여러 번 찾고 또 찾아가 보고 또 봤다. 불교의 선(禪)을 공부하면서 돌을 볼 때 철학과 깊이를 더하기 위해 애쓰기도 했다.

여든이 넘은 송씨 곁에 남은 돌은 이제 400여개에 불과하다. 송씨는 “나는 돌을 파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돌을 팔아본 적이 없다”면서 “돌이라는, 수석이라는 도(道)를 세상에 알리고 싶은 사람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그 많은 돌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나씩 그냥 나눠줬다. 그는 “그러다 보니 오히려 역설적으로 이제 남은 돌이 얼마 없지만 정말 소중하고 귀한 것들만 남게 됐다”고 말하며 웃었다. 그는 요즘 마지막 남은 귀한 수석들을 사진으로 찍어 CD에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돌을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나눠줄 수 없기 때문에 사진이라도 전달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이다. 그는 “돌 속에 인생과 삶이 있다”고 했다. “서른에 주운 돌을 50, 60대에 보면 다르고 80이 넘어 보면 또 다르다”면서 “생의 순간순간과 생의 소중한 것들이 또한 그러하지 아니한가”라고 말했다.

권경훈 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