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섭 KAIST(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는 최근 4년간 카이스트 입학처장을 지냈다. 국내 최고 수준 대학의 입학처장을 맡으면서 ‘진짜 인재’에 대한 고민이 깊었다. 그는 ‘카이스트는 이런 인재를 원한다’(가제)란 책을 집필 중이다. 무너진 교육사다리를 바로 세우고 ‘잘하는 학생’이 아니라 ‘잘할 학생’을 뽑기 위한 고민을 담은 책이다. 다음은 이 교수와의 인터뷰.

- 카이스트는 한때 공부 잘하는 가난한 학생들이 많았다. “카이스트 교수 21년 차다. 확실히 과거 포항공대 시절에 비해 고소득층이 많아졌다. 입학처장을 하면서 문제의식을 느꼈고,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고른기회전형을 확대했다. 영재성이 언제 튀어나올지 모르니 가능성을 보고 뽑아야 하지 않겠나.”

- 고른기회전형을 통해 입학한 학생의 학교생활은. “아무래도 1학년 때에는 학업 수준이 떨어진다. 고소득층 아이들처럼 선행학습과 사교육, 특목고 등 혜택을 못 받은 아이들이 많으니까. 이런 아이들에게 학교에서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 물을 더 많이 주는 거다. 놀랍게도 고학년으로 갈수록 잠재력이 발휘된다. 성적이 가장 빠르게 오르는 그룹 중 하나가 바로 고른기회전형으로 입학한 아이들이다. 지난 4년간 이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 중 탈락자가 단 한 명도 없었다.”

- 20년 전과 지금, 카이스트 입학생 성향은 어떻게 다른가. “정형화된 아이들이 많아졌다. 우리는 이런 교육을 받아온 학생을 원치 않는다. 연구소 같은 학교와 공장 같은 학교는 다르다. 우리나라는 여전히 공장 같은 학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성실해야 하고, 열심히 해야 하고, 착오가 없어야 하고,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걸 교육받는다. 리더를 키우는 교육이 아니라 식민지시대에 써먹을 수 있는 적당히 똑똑한 중간관리자를 뽑는 교육이다. 다음 시대에는 맞지 않는다.”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는. “물론 창의적 인재다. 창의성은 행복감과 자기만족감이 충실할 때 생긴다. 수학 문제 푸는 기계 같은 아이들은 공부에 대한 재미를 느끼지 못한다. 이런 아이들에게서는 창의성이 나올 수 없다. 또 학교에서 재미 없게 공부했는데 사회에 나가서 뭐가 재밌겠나. 배움의 기쁨을 못 느끼면 일의 즐거움도 못 느낀다.”

- 무너져가는 교육사다리를 잇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어떻게 바뀌든 지금보다는 나을 것 같다. 구체적으로는 고등학교의 계급화가 없어지고, 좋은 대학도 없어졌으면 좋겠다.”

- 최고 명문대 교수가 명문대가 없어졌으면 좋겠다니 의외다. “고등학교의 계급화와 좋은 대학들이 교육의 불평등을 점점 심화시킨다. 입시가 고교로 내려오면서 교육사다리 문제가 더 불거졌다고 본다. 현재 고등학교는 일반고, 자사고, 과학고와 외고, 영재고로 서열화돼 있다. 과학고가 딱 하나일 때에는 특목고 경쟁이 지금처럼 심하지 않았다. 4개일 때만 해도 괜찮았다. 현재 전국 특목고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렇다 보니 특수한 아이들이 가는 곳이라는 애초의 설립 취지가 무색해지면서 고입 계급화를 부추긴 원인이 됐고, 특목고가 사교육계의 불씨를 댕겼고, 교육불평등을 심화시켰다.”

현재 전국 특목고는 60개교가 넘는다. 외고 31개교, 과고만 20개교에 달하고, 영재고도 6개교나 된다. ‘과학예술영재학교’도 두 곳이나 생겼다.

- 특목고 폐지론자인가. “그렇지는 않다. 지능이 낮은 아이에게 특수교육이 필요하듯 특별한 아이들에게도 특수교육이 필요하다. 다만 ‘공부 잘하는 아이들이 가는 곳’이라는 인식이 아니라 ‘특수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아이들만 가는 곳’으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또 특목고 수도 확 줄일 필요가 있다.”

- 카이스트는 어떤 인재를 원하나. “서울대와 카이스트는 우리나라 교육의 정점에 있는 학교다. 이 학교 입학처장을 지낸 입장에서 우리나라에 진짜 필요한 인재상에 대해 사회적 화두를 던져 보고 싶었다. 지금의 방식대로 교육받아온 학생들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 ‘잘하는 학생’ 말고 앞으로 ‘잘할 학생’을 뽑으려 한다. 잘하는 아이가 앞으로도 잘할 것인가는 다른 이야기다.”

키워드

#인터뷰
김민희 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