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2일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자유북한운동연합 등 탈북자 단체들이 대북 전단을 날리는 모습. ⓒphoto 연합
2016년 4월 2일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자유북한운동연합 등 탈북자 단체들이 대북 전단을 날리는 모습. ⓒphoto 연합

지난 6월 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담화를 통해 한국 탈북단체들의 대북 전단 살포를 비난했다. 김 부부장은 “나는 원래 못된 짓을 하는 놈보다 그것을 못 본 척하거나 부추기는 놈이 더 밉더라”라면서 “쓰레기들의 광대놀음을 저지시킬 법이라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대북 전단 살포를 한 국내 탈북단체를 맹비난하면서 동시에 청와대를 향해 막말을 퍼부은 것이다. 김 부부장의 담화가 나온 지 4시간여 만에 통일부는 “대북전단 살포 금지 법률안(가칭)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대북 삐라는 백해무익한 행위”라고 했다.

국내 탈북 단체들의 대북 전단 살포는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가 대부분 주도해왔다. 김여정이 담화에서 맹비난한 대북 전단은 지난 5월 31일 자유북한운동연합이 경기도 김포시에서 살포한 것을 언급한 것이다. 박 대표는 6월 4일 언론 인터뷰에서 “지난 4월 우리가 평양으로 보낸 대북전단 1만장등을 실은 드론이 추락해 김정은 정권이 크게 놀랐다”고 주장했다. 다만 국방부와 통일부는 최근 한국에서 북한으로 날아간 드론은 없었다고 했다.

현재 민간 탈북 단체가 주도하고 있는 대북 전단 살포를 비롯해 북한 주민들에게 김정은과 북한의 실상을 알리는 ‘정보전’의 기술은 점점 발전해왔다. 민간의 대북 전단 살포가 막 시작됐던 2000년대 초반에는 일반 헬륨 풍선을 날리는 것이 전부였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부터는 풍선에 GPS를 장착해 대북 전단이 어느 지역에서 살포되는지 위치 추적까지 할 수 있게 됐다. 최근에는 특정 지역에서 자동으로 살포되는 기술과 일정량을 순차적으로 살포하는 기술까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풍선에 담을 수 있는 내용물들의 용량도 점점 커졌다. 과거에는 종이로 된 ‘전단’만 보낼 수 있었지만, 이제 탈북민 단체들은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담긴 USB와 SD카드 수 천개를 보낼 수 있다. 초코파이와 새우깡, 건빵 등 식량을 담아 보낼 때도 있었다.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지난 5월 31일 대북전단 50만장과 함께 소책자 500권, 1달러 지폐 2000장, SD카드 1000개를 보냈다고 했다.

전단 또한 종이 뿐만 아니라 물에 젖지 않고 잘 찢어지지 않게 코팅한 비닐 전단을 사용하기도 한다. 대형 풍선을 만들기 위해 10미터가 넘는 비닐과 40L짜리 수소가스, 전단 제작 비용과 탈북 단체 회원들의 교통비, 식사비 등을 합하면 대북 전단 살포 한 번에만 1000만원 가까운 비용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민주화위원회 허광일 위원장은 “최대한 실용적인 방법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전단을 살포하기 위해 탈북 단체들마다 각자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했다.

곽승한 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