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20일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위원회(위원장 김지형)는 원전 공사 재개 여부에 관한 공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종 결과는 ‘건설 재개’ 의견이 59.5%로, ‘건설 중단’(40.5%) 의견보다 19%포인트 더 높았다.

공론조사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보인 연령대는 40대였다. 1차 조사(총 500명)에서 40대의 ‘건설 재개’ 의견은 28%, ‘건설 중단’ 의견은 39.8%, ‘판단 유보’는 32.2%였다. 3차 조사(총 471명)에선 ‘건설 재개’ 32.9%, ‘건설 중단’ 43.5%, ‘판단 유보’ 23.6%였다.(2차 조사의 경우 1차 조사 때의 응답률 분포와 같았다고 함.) 두 조사에서 40대의 ‘건설 중단’ 의견은 ‘건설 재개’ 의견보다 약 11%포인트 정도 높은 것이었다. 4차 조사(총 471명)에서 40대는 ‘건설 재개’ 42%, ‘건설 중단’ 54.7%, ‘판단 유보’ 3.3%였다. ‘판단 유보’를 제외하고 실시한 양자택일 조사(4차 조사)에서 40대는 ‘건설 중단’ 의견이 ‘건설 재개’ 의견보다 9.4%포인트 더 높았다.(건설 재개 45.3%, 건설 중단 54.7%) 조사가 거듭될수록 40대의 ‘건설 중단’ 의견이 늘어나는 양상이었다.

1차 조사에서 위원회는 ‘원자력발전 정책에 대한 선호’에 관해 물었다. 이 질문에서 40대의 ‘원자력발전 축소’ 의견은 54.4%로 월등히 높았다. ‘원자력발전 유지’와 ‘원자력발전 확대’ 의견은 각각 26.3%, 8.6%에 그쳤다.

40대의 ‘건설 중단’ 의견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위원회가 발표한 최종보고서에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을 선택한 이유’를 5지선다형으로 물은 기록이 있다. 40대가 가장 많이 택한 선택지는 ‘체르노빌·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위험 상존’으로 전체의 34.6%였다. ‘핵폐기물이 수십만 년간 방사선을 방출해 인류생존을 위협’이 2위(28.8%)로 나타났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주요 3개 피해국(우크라이나·벨라루스·러시아)이 설립한 ‘체르노빌포럼’이 2005년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체르노빌 원전 사고에 따른 직접적 사망자 수는 50여명 정도라고 한다. 일본원자력안전·보안원(NISA)의 집계에 의하면, 후쿠시마 제1원전 근방에 있다가 원전 사고가 직간접적 원인이 돼 숨진 사람은 4명에 불과하다.

여론조사를 전문으로 보도하는 홍영림 조선일보 기자는 40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 지지율이 높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그런 면에서 원전 문제를 “정치·이념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 기자는 “40대는 IMF를 직접적으로 겪은 세대라 사회에 대한 불만도 크다”고 했다. 그래서 40대가 (안정지향을 추구하는) 친(親)보수적 이슈인 원전에 반대했다는 설명이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도 “40대에 1980~1990년대 학번이 많아 의식화된 사람이 많을 것”이라며 “원전 문제는 이념 문제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이슈
조성호 수습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