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11일 자유한국당 김용태 사무총장과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 전원책 조강특위 위원(앞줄 왼쪽부터)이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photo 이덕훈 조선일보 기자
지난 10월 11일 자유한국당 김용태 사무총장과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 전원책 조강특위 위원(앞줄 왼쪽부터)이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photo 이덕훈 조선일보 기자

입소스코리아 조사 결과 유권자 10명 중 8명 이상이 ‘보수정당 위기론’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가운데 대다수는 위기론의 원인이 보수정당 내부 요인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있었다. 보수정당의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는 응답도 압도적이었다.

이번 입소스코리아 조사에 응한 성인 남녀 1200명 중 ‘한국 보수정당의 위기론’에 동의한 응답자는 83.2%에 달했다. 이 같은 의견은 진보와 보수 이념성향을 가리지 않고 비슷하게 나타났다. 보수정당이 위기라는 진단에 대해 ‘동의한다’는 평가가 진보층(85%), 중도층(80.8%), 보수층(84.7%) 모두 80%대를 웃돌았다.

보수정당 위기의 원인에 대해서는 국민의식 변화 등과 같은 외부 요인(38.5%)보다 계파갈등 등 당내 요인에서 기인한다(61.5%)는 평가가 우세했다. 이런 인식은 보수층(65.2%)이 진보층(56.9%)보다 더 두드러졌다. 자유한국당 지지층(62.7%)과 바른미래당 지지층(65.2%)에서도 당내 요인을 지목하는 응답자들이 훨씬 많았다. 보수당 지지층 내에서도 보수정당의 내부 균열 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로 보인다. 입소스코리아 측은 이에 대해 “보수의 위기 유발 지점에 대해 외부 요인보다 내부 요인이 더 크다는 일반인들의 진단이 나온 것에 대해 보수정당이 귀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보수정당의 미래에 대해서도 비관적인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보수정당의 미래에 대해 ‘비관적이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86.2%였고 ‘낙관적이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13.8%에 불과했다. 또 지지층 내에서도 비관론이 낙관론을 압도하는 흐름을 보여줬다.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도 보수정당 미래를 비관하는 의견(61.3%)이 낙관하는 의견(38.7%)보다 22.6%포인트나 높았다.

자한당·바미당 지지층서는 통합 찬성 많아

한편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보수정당의 통합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전체적으로 보수정당 통합에 대한 반대론(36.5%)이 찬성론(30.4%)보다 높았지만 자유한국당 지지층과 바른미래당 지지층에서는 통합찬성론이 더 우세하게 나타났다.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는 통합 찬성 의견(77.6%)이 반대 의견(11.7%)보다 65.9%포인트 높았고 바른미래당 지지층에서도 통합 찬성 의견(56.5%)이 반대 의견(34.3%)보다 높았다. 이는 ‘보수정당 간 통합’이 보수정당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인식이 보수정당 지지층 내에 확산돼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입소스코리아 측은 “보수정당 내부의 균열, 갈등이 다시 한 번 증폭될 경우 보수정당에 대한 실망감이 더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이번 조사에서는 보수정당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나타내는 7개의 문항을 선정해 이에 대한 의견도 함께 분석했다. 7개 문항 전 항목에 대한 공감 비율이 70%를 웃돌아 보수정당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보수정당은) 시대변화를 못 읽고 있다’는 문항에 대한 공감 의견이 88.1%로 전체 7개 문항 가운데 가장 많은 공감을 샀다. 이어 ‘권위주의적인 정당이다’(84.6%), ‘젊은층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지 않고 있다’(82.5%), ‘변화와 개혁보다 현상유지와 안정을 선호한다’(82%), ‘서민보다 대기업과 부자를 위한 정치를 하고 있다’(78.1%), ‘강경 보수 지지층에 당이 끌려다니고 있다’(77.5%), ‘영남을 벗어나면 영향력이 없는 정당이다’(73.8%) 순이었다.

물론 보수정당에 대한 부정적 시각에 관한 문항 위주로 평가를 했기 때문에 입체적인 평가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부정적 문항에 대한 동의율이 전 문항에 걸쳐 고루 높게 분포돼 있는 것은 보수정당의 현주소가 심각한 위기 상황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대북 인식의 변화는?

“인권 개선 요구해야” 67.9%

“무력 도발 시 대응해야” 75%

올해 3차에 걸친 남북 정상회담이 진행되는 등 남북관계가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사 결과 북한에 대한 일반 유권자들의 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북한의 인권문제 개선 요구에 동의하는 비율이 67.9%로 중립(24.5%)과 반대(7.6%)보다 월등히 높았다. 또 ‘연평도 폭격과 같은 북한의 무력 도발사태가 벌어질 경우 자위권 차원에서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도 동의하는 비율이 75%로 중립(19.6%)과 반대(5.4%)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핵개발 등 북한의 전쟁 위협에도 불구하고 같은 민족으로서 식량지원 등 인도적 지원은 해야 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동의 의견이 43.5%로 반대 의견(30.7%)보다 높게 나타났다. ‘북한이 국제사회 일원으로 부족한 면이 있지만 미래 동반자로 생각해 이해하고 감싸줘야 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동의 45.9%, 중립 34.6%, 반대 19.5% 순이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북한의 인권 개선 요구’, ‘(무력) 도발 시 단호 대응’ 등의 문항에 대한 동의 수준(60% 이상)이 ‘인도적 지원’이나 ‘동반자로서의 포용정책 추진’에 대한 동의 수준(40% 이상)보다 높게 나타난 점이 눈에 띈다. 이는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있는 것과 별개로 북한에 대한 국민의 기본 인식은 아직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분석된다.

키워드

#커버스토리
조현주 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