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흥덕구에 있는 ‘인류진화연구소’에서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의 활동 상황을 설명하고 있는 박선주 충북대 명예교수. ⓒphoto 오동룡
청주시 흥덕구에 있는 ‘인류진화연구소’에서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의 활동 상황을 설명하고 있는 박선주 충북대 명예교수. ⓒphoto 오동룡

“6·25전쟁 민간인 희생자 문제는 대한민국 현대사의 불행입니다. 아직도 책임 소재를 놓고 공방을 벌이고 있고, 사회적 갈등과 분열이 생기고 있습니다. 공동조사단이 발굴하는 유해들은 국가 정체성 확립, 인권신장, 화해와 상생을 위한 근본적인 재료로 사용될 것입니다.”

2014년부터 ‘6·25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이하 공동조사단) 단장을 맡고 있는 박선주(72) 충북대 명예교수는 요즘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충남 아산시 유해발굴 현장을 자주 찾고 있다. 지난 8월 초 청주시 흥덕구 ‘인류진화연구소’에서 만난 박 교수는 “요즘 비가 연일 쏟아져 8월 말까지 발굴작업을 일시 중단했다”고 말했다.

박선주 교수는 지난해 2월 20일부터 4월 1일까지 충남 아산시 배방읍 설화산 폐금광 유해발굴 현장에서 6·25 당시 학살된 민간인으로 추정되는 뼛조각 3246점을 발굴했다. 그는 이 유해들이 1951년 1·4후퇴 당시 학살당한 민간인들로 “최소 209명”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부역 혐의를 받던 희생자들이 준군사조직인 치안대에 의해 설화산 폐금광 입구 웅덩이에서 처형됐습니다. 10대 후반에서 20대 후반까지로 파악된 여성의 유골도 발굴됐고요. 여성들이 지니고 있던 비녀만 해도 89개가 발견됐어요. 희생자 중 58명이 1살 남짓에서 12살 정도로 보이는 어린아이들이었습니다. 젊은 엄마의 등에 업혔다가 희생당한 아이들인 듯해요.”

6·25전쟁 유해발굴의 개척자

박선주 교수는 국내 유해발굴 분야의 개척자이자 최고 전문가다. 국방부 6·25 전사자 유해발굴단장, 일제강점기 민간인 강제징용 유해발굴단장,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위원회의 희생자 유해발굴단장,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 추진단장, 6·25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단 공동대표 등을 맡아왔다. 세월호 희생자 유해발굴과 감식도 그가 지도했었고 국민 방위군 유해발굴, 실미도사건 희생자 유해발굴 사업도 맡았었다. 지난 20여년 동안 그가 수습한 희생자 유해만 5000구 정도다.

특히 그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국군유해발굴사업을 주도했다. 2000년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이 시작되면서 국방부 요청으로 8년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을 이끌었다. 당시 박 교수는 군 관계자에게 유해발굴 방법, 감식 기법 등을 전수했다. 유해발굴감식단은 첫해 2000구의 국군 유해를 발굴했고, 이후 8년 동안 1만1000구를 찾았다. 2007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출범한 이후 수습한 국군 전사자 유해 중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9000여구는 현재 서울 동작구 현충원 국선제(임시유해보관소)에서 10년 넘게 햇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들을 기리는 별도의 행사도 없다.

박선주 교수는 “적과 뒤엉킨 병사의 신원을 확인하기에는 애로가 많다”며 “미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실종자 관리청(DPAA·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은 1940년 12월 일본의 진주만 공습 때 침몰한 애리조나호 장병들의 시신 일부를 인양해 보관하다가 최근에야 마린 타포노미(marine taphonomy·해양 화석생성이론) 기법으로 모든 뼈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부러웠다”고 했다.

2007년 유해발굴 전문부대인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이 창설된 것도 정부를 상대로 “국군유해발굴사업을 지속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그의 끈질긴 설득 덕분이었다. 감식단이 창설됨으로써 체질인류학을 전공한 박 교수의 제자들이 전공을 살릴 수 있는 일터도 마련된 셈이다. 실제 그가 2008년 “발굴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건의를 한 결과 국방부 내에 ‘유해발굴 감식’ 병과까지 생겼다.

한편 북한군 역시 6·25전쟁 기간 동안 군인, 경찰과 군경 가족, 우익인사, 지식인, 종교인 등 양민 13만명을 학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6·25전쟁 종료 직후부터 북한군에 학살당한 민간인 희생자들의 유해발굴을 추진해 대부분 관련 사업이 종료됐다. 우익 인사 1000여명이 학살당한 대전교도소 유해발굴 등이 대표적이다.

연세대 사학과 출신인 박 교수는 국내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1979년 미국 버클리대로 유학을 떠나 인류의 기원, 역사, 문화 따위를 밝히는 체질인류학(physical anthropology)을 공부했다. 1989년 귀국 후에는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일해왔다.

국군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을 하기 전인 1997년 박 교수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 홋카이도로 끌려갔다가 사망한 한국인 징용피해 노동자의 유해발굴을 주도했다. 박 교수가 발굴 책임을 맡은 이 사업은 KBS가 ‘70년 만의 귀향’으로 특집 방송을 했을 만큼 가슴 아픈 사연이 곳곳에 숨어 있었다. 일본에 징용돼 가혹한 노동으로 고통받다가 이국 땅에 묻힌 115위의 유골이 70년 만에 3000㎞를 달려 귀향하는 것은 한 편의 인간 드라마였다. 당초 박 교수는 홋카이도 북부 사루후쓰(猿拂) 아사지노(淺茅野) 일본육군비행장 터 등지에서 징용 희생자 유골 115위를 발굴했다. 이들 115위의 유해에 대해 “광복 70주년을 맞는 해 추석에 한국으로 모시자”는 의견이 나왔고, 실제 2015년 추석 때 일본 아사지노를 출발해 시모노세키를 거쳐 3000㎞가 넘는 10일간의 대장정이 펼쳐졌다. 희생자 유해는 2015년 9월 18일 꿈에 그리던 고국 품으로 돌아와 경기도 파주 서울시립묘지에 안장됐다. 박 교수는 “당시 일본의 한 장인(匠人)은 못을 쓰지 않은 오동나무 관을 20개 만들어 갖고 와 발굴단에 더 없는 감동을 전했다”며 “삿포로, 오사카, 히로시마, 시모노세키에서는 천태종 사찰 스님들이 엄숙하고 정성스러운 법요식(法要式)을 마련, 억울하게 희생된 조선인들의 넋을 위로해주었다”고 했다.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 불발 안타까워

박 교수는 자신이 주도한 다양한 유해발굴 사업 중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 사업을 가장 안타까워했다. 2006년 실시한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2008년 ‘한·중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사업단’을 이끌며 유력 매장지 추정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했지만 아쉽게도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지 못하고 빈손으로 돌아왔기 때문이다. ‘안 의사 묘소’로 알려진 곳에서 찍은 사진과 일치하는 장소를 확인해 안 의사 유해 매장지로 추정되는 장소를 찾은 것이 그나마 성과였다.

박 교수는 “현재 중국 외교부는 안 의사 유해발굴을 추가적으로 하려면 ‘새로운 증거를 대라’고 요구하고 있고, 동시에 남북한 공동으로 발굴하라고 말하고 있다”면서 “안 의사 서거 110주기가 지나는 이 시점에 문재인 정부도 안 의사 유해발굴 사업을 하나의 이벤트로 생각해선 안 된다”고 했다. “안 의사 순국 당시 뤼순감옥 소장의 딸인 이마이 후사코(今正房子)가 제시한 사진과 증언 등 지금까지 나온 증거들을 종합해 ICT(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만들어놓아야 한다”는 주문도 했다.

세월호 합동수습본부 고문과 선체조사위원으로 2017년 4월 21일부터 세월호 미수습자 유해를 찾는 작업을 지도·자문·감독한 것도 아쉬움이 많이 남는 일이었다고 한다. 당시 박 교수는 작업자들에게 수습 방식 등을 교육했고, 몸소 세월호 선내에 들어가 유해발굴 작업을 감독하기도 했다. 그는 “1만t에 달하는 진흙 속에서 미수습자 유해와 유류품 등을 찾기 위해 지름 3㎜ 구멍을 수천 개 뚫은 가로 1m, 세로 1m 크기의 체 10개를 특수 제작했다”며 “수도시설을 설치해 시신이 상하지 않도록 물을 뿌려가며 진흙을 걸러내도록 했다”고 했다. 박 교수는 “세월호 참사 미수습자 수습은 땅이 아닌 바닷속에 오랫동안 가라앉아 있는 유해를 찾는 작업”이라며 “바닷속에 36개월 가라앉은 유해는 작은 충격에도 손상되기 쉬워 조심스럽게 수습을 진행해야 했다”고 했다. 그는 “당시 총 20점의 뼛조각을 발견했으나 모두 동물뼈인 것으로 판명됐다”며 “선체 정리업체 코리아셀비지 직원들이 바지선 위에서 족발을 먹고 바다에 버렸던 것”이라고 했다.

<strong></div>01</strong> 2018년 아산시 설화산 폐금광에서 희생자 유품인 비녀 들이 발견됐다. photo 유해발굴공동조사단<br/><strong>02</strong> 공동조사단은 2014년 2월 25일부터 3월 2일까지 진주시 명석면 용산리 산 241번지 일대(일명 용산고개)에서 1차 유해발굴 조사를 벌였다. 그해 3월 1일 발굴 현장 모습. photo 뉴시스<br/><strong>03</strong> 2016년 3월 6일 충남 홍성군 광천읍 담산2리 폐금광에서 열린 제3차 유해발굴 조사 현장설명회. photo 뉴시스
01 2018년 아산시 설화산 폐금광에서 희생자 유품인 비녀 들이 발견됐다. photo 유해발굴공동조사단
02 공동조사단은 2014년 2월 25일부터 3월 2일까지 진주시 명석면 용산리 산 241번지 일대(일명 용산고개)에서 1차 유해발굴 조사를 벌였다. 그해 3월 1일 발굴 현장 모습. photo 뉴시스
03 2016년 3월 6일 충남 홍성군 광천읍 담산2리 폐금광에서 열린 제3차 유해발굴 조사 현장설명회. photo 뉴시스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에 투신한 이유

국군 유해발굴 이후 박 교수는 6·25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 작업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졌다. 노무현 정부 당시인 2005년에 3년 한시법으로 만들어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기본법’(진실화해법)이 계기였다. 이 법에 따라 2006년 12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가 각종 자료와 6·25전쟁 민간인 희생자 유족 등의 증언을 바탕으로 관련 조사를 했는데 그 조사의 일환이 유해발굴이었다.

당초 전국 168곳이 민간인 희생자 매장 추정지로 거론됐는데 이후 지표조사 등을 진행한 결과 이 중 59곳에서 유해 발굴이 가능한 것으로 나왔다. 유해발굴의 시급성, 현장의 특성 등을 고려해 우선발굴 대상지로 다시 39곳이 추려졌다.

이후 진실화해위는 2007년부터 3년 동안 경북 경산 코발트 광산, 충북 청원 분터골, 전남 진도 갈매기섬 등지에서 유해발굴 작업을 했다. 이 과정에서 유해 1617구와 유품 5600여개를 수습했다. 진실화해위 활동 기간이 종료된 2010년 12월 31일까지 실제 발굴이 진행된 곳은 13군데로 전체 매장 추정지의 10%도 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진실화해위 활동 종료와 함께 유해발굴 사업도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 사업은 유족들과 시민단체의 뜻을 모아 민간 차원에서 다시 이어졌다. 2014년 유족들과 시민단체가 발굴비용 모금에 나섰고, 2014년 2월 ‘6·25전쟁기 민간인 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이 결성됐다. 이 과정에서 박선주 교수 등 발굴 전문가들은 ‘자원봉사’로 참여했고 정부에 ‘제2의 진실화해법’ 제정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후 공동조사단은 2014년 2월 경남 진주시 명석면 용산고개를 시작으로 유해발굴 작업을 재개해 현재까지 7차에 걸쳐 5곳에 대한 유해발굴 작업을 했다. 이 과정에서 수습한 유해는 약 2000여구. 지난 3월에는 충북 보은군 내북면 아곡리에서 40구의 유해와 136점의 유품을 발굴하기도 했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해마다 300여구의 유해들을 찾고 있다.

민간 차원의 유해발굴 작업이 이뤄진 곳 중에서 충남 대덕군 산내면 낭월리 골령골은 6·25전쟁 당시 최악의 좌익사범 처형이 이뤄진 곳이다. 1950년 6월 말부터 국군이 대전에서 철수한 7월 20일 사이에 국민보도연맹원, 예비검속자, 대전형무소 재소자 등 5000~8000명이 군 방첩대와 경찰에 의해 집단학살된 것으로 추정된다. 박 교수는 “2007년 여기서 첫 유해발굴을 할 때 사유지 문제로 40여구의 시신밖에 찾지 못했다”며 “정부는 내년에 이곳 4만평(약 13만㎡)의 부지를 매입해 국제공모를 통해 산내면 일대를 워싱턴의 한국전참전용사기념공원처럼 만든다는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나는 시민단체 관련자들에게 ‘민간인들이 국군에 희생됐다’는 말을 쓰지 못하게 한다”며 “국군의 특수조직(방첩대)이 경찰과 형무소 교도대를 동원해 좌익 민간인을 학살한 것이 정확한 실상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2016년 박 교수는 노근리 국제평화재단과 노근리평화상심사위원회로부터 6·25전쟁 군인·민간인 유해발굴 등 인권신장에 헌신한 공로로 ‘노근리 평화상’(인권상 부문)을 받기도 했다. 그는 “내게 농반진반으로 ‘교수님 언제 전향하셨느냐’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념을 떠나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유가족들의 피끓는 심정을 생각하고 망자(亡者)를 편안하게 저승으로 보내자는 것이 내 작업”이라며 “이 분야를 공부한 학자로서 당연한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50대 초반에 시작한 박 교수의 유해발굴 역사는 이제 햇수로 20년을 넘겼다. 박 교수는 “2~3년 전만 해도 곡괭이질을 직접 했었는데 이제는 힘에 부친다”며 “아무런 대가도 없이 현장을 찾아 자원봉사하는 시민들이 있어 버틸 수 있다”고 했다. 그는 “가족들과 예순다섯까지만 하기로 약속을 했으나 국내에서는 뼈대학(skeletology)을 전문적으로 공부한 인력이 별로 없다 보니 그만둘 수가 없다”며 “일흔다섯까지 할 생각인데, 아내가 허락할지 모르겠다”며 웃었다.

박선주 교수는 그동안 부인의 내조를 톡톡히 받았다. 부인 박데비(63·본명 이두희)씨 역시 17년째 유해발굴 현장에서 남편을 돕고 있다. 그녀는 18살 때 미국으로 건너가 샌프란시스코주립대에서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해 당초 유해발굴 분야에는 문외한이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남편을 돕기 위해 석사과정에 있던 대학원생들 틈에 끼어 인체 뼈를 다룬 ‘Human Bone Manual’을 공부했고, 충북의 ‘사진기자 1호’라는 평가를 받는 김운기 작가에게 사진을 배우기도 했다. 부인 박데비씨는 2002년 국군유해발굴사업 현장에 처음 참여했는데 그때부터 제 몫을 하기 시작했다. 유해발굴 작업은 스태프들이 현장에서 뼈를 발굴하면 그 뼈를 세척해 말린 후 감식과정을 거쳐 사진촬영을 하게 된다. 박 교수의 부인은 현장 발굴작업은 물론 출토된 뼈 사진을 찍어 날짜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수행해왔다. 박 교수는 “우리 부부에게 남은 숙제는 4개의 발굴사업을 사진집으로 남기는 일”이라며 “사진과 자료가 워낙 방대하다 보니 엄두를 못 내고 있지만 후세에 남겨야 하는 기록이기 때문에 더는 미룰 수 없는 시점”이라고 했다.

“하루빨리 관련법 만들어져야”

박 교수는 요즘 아산 유해발굴의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올해까지 마무리한 후 본격적으로 내년에 추가 발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그는 지난 1월 19일 미국에 있는 ‘미주 진실 화해 모임’ 초청으로 뉴욕 플러싱타운홀에서 ‘6·25전쟁 전후의 민간인 학살의 진상’을 주제로 강연하기도 했다. 해외에서 한국의 민간인 학살을 주제로 초청강연을 한 것은 그가 처음이었다.

현재 6·25 민간인 희생자 유족과 공동조사단 측은 조속히 관련법을 만들어 정부가 다시 유해발굴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19대 국회 당시 이낙연 의원(현 국무총리)이 발의한 ‘6·25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사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등을 위한 기본법안’ 등 총 13개 법안이 발의됐지만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폐기됐다. 현재 20대 국회에서도 관련 법안 7개가 국회에 제출돼 법사위에 계류 중이다.

박 교수는 “시민들의 자발적 봉사와 모금으로 유해발굴을 진행하고 있고, 최근에는 아산시 등 지자체가 예산 지원을 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며 “하루빨리 관련법이 만들어져 국가 차원에서 희생자 유해발굴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미국의 DPAA처럼 대통령 직속으로 유해발굴센터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며 “개인적으로는 오랫동안 노력해온 안중근 의사의 유해도 내 손으로 찾고 현장을 떠나고 싶다”고 했다.

키워드

#인터뷰
오동룡 조선뉴스프레스 기획취재위원·군사전문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