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지난 1월 16일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총선 아홉번째 영입인재였던 최지은 전 부산 북강서을 후보와 인사하고 있다. ⓒphoto 연합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지난 1월 16일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총선 아홉번째 영입인재였던 최지은 전 부산 북강서을 후보와 인사하고 있다. ⓒphoto 연합

21대 총선에서 여권 비례대표 후보로 공천받아 처음 배지를 달거나, 지역구 후보로 영입됐던 인물들이 잇따라 물의를 일으키면서 여당의 공천과정에 대한 뒤늦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인재영입이나 비례대표 공천에 관여했던 여당 지도부의 책임론까지 불거자고 있다. 이런 비판론은 양정숙 당선자와 윤미향 당선자에 이어 최지은 후보까지 논란이 커지면서 더욱 거세지는 모양새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부산북구갑에 출마했던 최 후보는 미래통합당 당적을 10년 간 유지해 온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세계은행 전 이코노미스트였던 최 후보는 민주당이 경제전문가로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인물이었음에도 기초적인 이력조차 파악하지 못한 셈이다.

이번 총선을 앞두고 이뤄진 민주당의 인재영입은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주로 진행된 인재영입은 철저하게 보안이 유지된 채 이뤄졌다. 지난해 12월 ‘1호 영입인재’인 최혜영 강동대 교수(현 당선인)를 시작으로 영입 인재가 발표되던 때까지도 이해찬 대표를 제외하면 원내대표를 포함한 대부분의 최고위원들이 영입 인재들의 명단을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 때문에 당 차원에서 인재들을 검증할 시간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있다. 민주당 한 중앙당 당직자는 “양 원장은 스피드가 있고 싸움도 잘 하지만 디테일에는 약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정당의 검증 체계에서 오는 구조적 한계도 있다. 공직후보자의 경우 청와대 인사수석실과 민정수석실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검증을 거칠 수 있다. 정부가 받을 수 있는 인사 관련 데이터도 방대하다. 반면 정당은 인력도, 체계도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시간적 한계도 명확하다. 정당은 선거를 앞두고 외부 인재를 영입하면 어찌됐든 유권자들에게 공개해야 선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당직자는 “당에서 내세우는 인재는 공직이나 공직에 준하는 자리를 맡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유럽선진국 정당들 처럼 일찍부터 인재들을 공개하고 사전에 검증을 받는 시스템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용진 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