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10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제8차 비상경제회의에 참석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photo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10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제8차 비상경제회의에 참석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photo 뉴시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간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로 접근했다.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조사(28~29일 전국 유권자 1천명 대상)한 결과 민주당 지지율은 전주 대비 0.4%포인트 오른 34.5%를, 국민의힘 지지율은 2.3%포인트 증가한 31.2%를 각각 기록했다. 양당의 지지율 격차는 3.3%로 3주 만에 오차범위(95% 신뢰수준 ±3.1%포인트) 수준으로 좁혀졌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의 특혜복무 논란과 북한의 해수부 공무원 피격사건으로 양당 간 지지율 격차가 좁혀진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여당이 이런 상황에서도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는커녕 청와대의 눈치만 보고 있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통상 정권 말이 되면 여당은 자연스럽게 대통령과 각을 세우면서 다음 대선을 준비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추석 전 실시한 여론조사를 보면 전반적으로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의 지지율 차이는 10%포인트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대통령의 지지율은 40% 대 중반, 여당의 지지율은 30% 중반 선이다. 이런 지지율 격차는 정권 말이 되어도 여당이 대통령과 등을 돌리기 어렵게 만든다. 통상적으로 대통령이 임기말 30%대를 유지하면 여당 내에서 대권 주자들이 대통령과 각을 세우며 존재감을 드러내기 마련이지만 40%대 중반을 유지하는 경우는 이런 상황이 만들어지기 어렵다.

특히 40% 지지율의 기반인 문재인 대통령 지지층들이 여당의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권리당원이 많다는 점에서 문제는 이런 상황이 내년까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4년차 대통령이 40%를 유지하는 것은 문민정부 이후 찾아보기 어렵다. 권력형 비리가 불거지지 않는 한 이런 지지율은 깨지기 쉽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임기말 대통령의 콘크리트 지지율은 일장일단이 존재한다. 공직사회에서 임기말 권력누수 현상을 차단할 수 있고, 당정청 간 호흡이 끝까지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들이 여당 대선주자들에게 반드시 유리한 상황이라고 보기 어렵다. 40%에 대한 나머지의 반감이 점차 커져가는 상황에서 대선은 40%만으로 이기기 어려운 게임이기 때문이다. 양자구도에서는 50%, 다자구도에서도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해야 대권을 거머쥘 수 있다. 이런 정치지형에서 야당이 후보단일화를 한다면 여당의 정권연장은 어려울 수 있다.

박혁진 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