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로지가 위치한 다람살라 가는 길. 설산설릉은 햇살에 반짝이지만 트레커들의 몸놀림은 굼벵이처럼 더디고 힘겨웠다.
마지막 로지가 위치한 다람살라 가는 길. 설산설릉은 햇살에 반짝이지만 트레커들의 몸놀림은 굼벵이처럼 더디고 힘겨웠다.

세계 제8위 고봉(高峰) 마나슬루(Manaslu·8163m)는 네팔 히말라야의 여러 산군 가운데 비교적 덜 알려진 고산이다. 최근 들어 산 깊숙이 찻길이 들어서고 있긴 하지만 티베트 부락 사마가온(3460m)을 거쳐 해발 5160m 높이의 고개인 라르캬라(Larkya La)를 넘는 트레일의 경우 어지간한 건각이 아니면 시도하기 쉽지 않은 트레킹 코스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 덕분에 태고의 자연미가 잘 보존되어 있다. 또 현대문명이 변질시키지 않은 티베트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지역이다.

동서 약 800㎞ 길이의 네팔 히말라야산맥이 중국 티베트와 국경을 이루고 있음에도 마나슬루는 온전히 네팔에 속한 고봉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기슭 곳곳에 티베트인들의 마을이 있다. 티베트에서 히말라야산맥을 넘어온 네팔 거주 티베트인들은 셰르파(Sherpa), 타망(Tamang) 등의 부족 이름을 지니고 있는데 마나슬루 지역 주민들은 유독 티베트인(Tibetans)으로 불린다.

여기에는 1950년 중국의 티베트 점령이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 1959년 중국의 무자비한 탄압을 피해 달라이라마가 인도 다람살라로 망명할 당시 히말라야산맥을 넘어온 티베트인들이 정착한 지역이 바로 마나슬루이기 때문이다. 지금도 마나슬루 지역 주민들은 히말라야산맥 너머 티베트인들과 교역을 하면서 서로 넘나들이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7년 동계 마나슬루 원정에 나섰던 고 박영석 대장이 히말라야산맥을 넘어온 티베트인들의 손발 동상이 심각한 것을 보고 카트만두의 항공사에 헬리콥터를 급히 요청해 구조해준 적도 있을 정도다. 이곳 사마가온 마을의 윗마을인 삼도(Samdo·3860m) 가까이에 티베트로 이어지는 계곡이 있는데 그 들머리에 라르캬바자르(Larkya Bazar)라는 장터가 있다. 여기서 히말라야산맥을 사이에 두고 교역이 이뤄진다. ‘바자르’는 ‘장터’를 뜻하는 말이다.

마나슬루는 1956년 봄 일본 원정대가 초등정의 영예를 차지했고, 우리나라는 동국산악회 원정대(대장 이인정)가 1980년 한국 첫 등정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한국 히말라야 등반사상 첫 인명사고와 최대 인명사고가 일어났던 악명 높은 고봉이기도 하다.

산스크리트어로 ‘영혼의 땅’ ‘정령의 산’이라는 의미를 지닌 마나슬루는 날카로운 쌍봉 모습 때문에 ‘악마의 이빨’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다. 1971년 김호섭 대장이 이끈 한국 원정대는 첫 도전에서 김 대장의 동생인 김기섭이 정상 공격을 앞둔 시점에 돌풍에 떠밀리면서 크레바스에 빠져 사망했고, 이듬해 1972년 맏형인 김정섭 대장이 이끈 두 번째 도전에서는 대원 3명을 포함, 무려 15명이 눈사태에 파묻혀 목숨을 잃는 대참사를 당했다. 당시 김호섭과 막내인 김예섭도 사고를 당했으나 김예섭은 눈사태에 무려 1000m 이상 휩쓸렸음에도 눈에 파묻히지 않아 살아날 수 있었다.

필자는 최근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출발해 마나슬루 트레킹에 도전했다. 카트만두에서 버스와 지프, 공사용 대형 트럭까지 타고 접근한 마차콜라(해발 825m)에서 시작한 트레킹은 9일째인 4월 5일 라르캬라를 넘기 전까지 불확실성의 연속이었다. 2월과 3월에 내린 폭설에 아직 덮여 있는 라르캬라를 넘어갔다는 트레커들이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마차콜라를 출발한 뒤 이틀간 부디간다키계곡을 지날 때는 바위벼랑에 길을 내기 위해 돌을 깨내는 착암기 소리로 어수선했으나 이후 고즈넉함 속에 골짜기를 거슬러 올랐다. 골 양옆으로 치솟은 고산준령의 웅장함과 태곳적 분위기는 일행 모두를 감동케 했고, V자를 이룬 골짜기 끄트머리에 솟구친 설산들은 영롱한 빛으로 신비감을 더해주었다.

<b></div>1</b> 마나슬루를 상징하는 티베트인들 부락인 사마가온. 한 여인이 어린아이를 업은 채 야크를 몰고 산 위로 오르고 있다.<br><b>2</b> 라르캬라를 넘어 빔탕으로 내려서는 일행. 안나푸르나 산군이 바라보인다.<br><b>3</b> 살기 위해 몸부림치다가 죽어간 산양의 사체. 다람살라 일원은 산양이 떼를 지어 서식하는 지역이다.<br><b>4</b> 마나슬루는 ‘영혼의 땅’ ‘정령의 산’이란 뜻과 함께 ‘악마의 이빨’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다. 왼쪽 봉우리가 주봉이며, 노멀루트는 전위봉 오른쪽 설릉을 우회해 접근한다.
1 마나슬루를 상징하는 티베트인들 부락인 사마가온. 한 여인이 어린아이를 업은 채 야크를 몰고 산 위로 오르고 있다.
2 라르캬라를 넘어 빔탕으로 내려서는 일행. 안나푸르나 산군이 바라보인다.
3 살기 위해 몸부림치다가 죽어간 산양의 사체. 다람살라 일원은 산양이 떼를 지어 서식하는 지역이다.
4 마나슬루는 ‘영혼의 땅’ ‘정령의 산’이란 뜻과 함께 ‘악마의 이빨’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다. 왼쪽 봉우리가 주봉이며, 노멀루트는 전위봉 오른쪽 설릉을 우회해 접근한다.

테라스형 산사면에 거대한 부락을 이룬 필림(1590m)에 이어 뎅(1860m), 남룽(2580m), 샬라(3460m) 등 티베트 부락을 거쳐 6일째 도착한 사마가온은 깜짝 놀랄 만큼 큰 산촌이었다. 좁은 골목 양옆으로 키 작은 티베트식 가옥이 다닥다닥 붙어 있었다. 티베트 전통복장에 얼굴이 새카맣게 그을린 주민들은 따스한 햇살 아래 땔감을 패거나 어린아이를 돌보고 있었다. 야크를 몰고 어디론가 가는 등 지극히 일상적인 풍경이었다.

마을에서 가장 돋보인 것은 역시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인 양 신비스러운 자태로 솟아오른 마나슬루였다. 영봉(靈峯)은 날카로운 쌍봉을 모두 보여줄 듯 말 듯한 자태를 뽐내며 트레커들의 눈길을 붙잡았다.

베이스캠프(4400m) 가는 길에 거대한 빙하와 설벽을 거친 후에야 마나슬루는 정수리로 이어지는 전모(全貌)를 드러냈다. 세계 8위 고봉다운 위용이었다. 하지만 1971·1972년 두 차례 사고로 숨진 16명의 영혼들과 2010년 봄 극심한 고소증으로 혼미해진 젊은 산악인을 돌보다 끝내 함께 산이 돼버린 산악인 윤치원의 얼굴이 떠올라 가슴이 먹먹해졌다.

8일째 삼도(3860m)에서 마지막 로지 지역인 다람살라(4470m)를 향해 오를 때 사방팔방으로 솟아오른 설산들은 다시 한 번 신비감 넘치는 풍광으로 일행을 감동케 했다. 반면 눈밭에 널브러진 산양의 사체(死體)는 이곳이 지구상에서 가장 혹독한 자연환경을 지닌 히말라야라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했다.

9일째 새벽 칠흑 같은 어둠을 뚫고 눈밭을 가로지르며 라르캬라로 향할 때에는 내내 긴장감이 흘렀다. 고소증세에 몇몇 사람은 술 취한 듯 비틀거렸다. 그래도 굼벵이 같은 걸음이지만 한 발 한 발 높이를 더해갔다. 드디어 여명에 설산이 솟아올랐다. 햇살이 온 산을 보석처럼 빛나게 할 즈음 전원 해발 5160m 높이의 고갯마루 라르캬라에 올라섰다. ‘드디어 해냈다’는 성취감에 모든 이들의 얼굴에는 행복감이 넘쳐났다. 고개 너머 안나푸르나 산군의 설봉들이 축하라도 하는 듯 반짝였다.

키워드

#여행
한필석 전 ‘월간산’ 편집장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