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추석에 버스나 승용차로 고향을 다녀온 사람들은 새삼 놀랐을 것이다. 전국 구석구석까지 도로망이 기막히게 잘 되어 있다는 사실에. 하도 많이 산을 뚫고 길을 내서 ‘여기가 어디지?’라고 헷갈리기도 한다. 산천은 의구(依舊)하다는 옛 시인의 말은 허사(虛辭)다. 통행량이 많지 않은 곳에까지 널찍한 왕복 4차선 도로를 건설해 놓아서 예산이 사회간접자본에 과다하게 투입되는 게 아닌가 느껴질 정도다.

오래간만에 한국을 방문한 해외동포들은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서울의 교통 시스템이 너무 편리하고 잘 되어 있어 놀랐다고. 인천공항에서 서울시내와 지방도시로 연결되는 교통망은 또 어떤가. 한국보다 잘사는 선진국들도 이런 교통 시스템을 갖춘 나라는 거의 찾기 힘들다. 교통 인프라 면에서 한국은 북미나 유럽의 선진국보다도 월등히 앞선다. 한국은 의료 인프라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여름방학 때 아프리카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온 지인의 대학생 아들은 한국을 다시 보게 되었다고 말했다. 굳이 아프리카까지 갈 필요도 없다. 동남아만 가도 ‘Korea’에 대한 인식이 바뀐다. 왜 아프리카·중앙아시아·중남미 국가들은 가난하고 북미와 유럽 국가들은 부유한가?

경제사학자들에 따르면 1820년경에 세계사적 대분기(大分期·Great Divergence)가 일어났다. 지금 부유한 국가들은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이 대분기에 이미 부유한 국가의 대열에 합류했다. 1820년대 영국, 네덜란드 등 서유럽 국가들의 1인당 GDP는 1700~1800달러였다. 이 수치는 현재 아프리카 국가들의 그것과 비슷하다. 세계사적 예외가 일본·한국·대만이다. 아시아 3국은 1820년경에 빈국이었다. 일본은 19세기 후반에 아시아 최초로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고, 20세기 초반에 이르러 최대 부국 집단에 편입됐다. 일본보다 더 극적인 나라가 한국이다. 1960년대 초, 한국은 아프리카 가나와 비슷한 세계 최빈국의 일원이었다.

선진국은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이 균형을 이룬 나라, 즉 일류국가를 일컫는다. 물질문명에서 한국은 60년 만에 세계사의 기적을 만들어냈다. 정신문명은 어떤가? 오랜 세월 시간의 파도 속에서 퇴적되어 이루어지는 게 정신문명이다. 물질문명은 지도자를 잘 만나면 압축성장이 가능하지만 정신문명은 압축성장이 불가능하다. 의식의 발전이 매우 더디기 때문이다.

정신문명 선진국은 권력(權力)과 금력(金力)이 감히 범접하지 못하는, 전통과 문화가 면면히 흐르는 사회다. 상류층의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살아 있고, 가업(家業)을 중시하고 장인(匠人)을 존중하는 사회다. 영국인은 왜 영국 왕실에 존경심을 보낼까. 영국 왕실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왜 스위스 사람들을 부러워하나. 스위스에서는 가업 계승을 장려하고 장인을 우러러본다.

검찰총장을 지낸 사람이, 대법관을 지낸 사람이, 육군 참모총장을 지낸 사람이, 명문대 총장을 지낸 사람이, 신문사 편집국장을 지낸 사람이 국회의원 한번 하겠다고 쪼르르 달려가는 사회는 죽었다 깨어나도 정신문명의 선진국이 될 수 없다. 검사장을 지냈다는 사람이 돈 앞에 사족을 못 쓰는, 천민성(賤民性)을 드러내는 사회는 정신문명의 후진국이다.

우리는 언제쯤 정신문명에서도 선진국이 될 수 있을까.

키워드

#편집장 편지
조성관 편집장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