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초 한국갤럽 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직후 첫 지지율은 53%였다. 이 수치는 지난 1년간 윤 대통령 지지율의 최고 기록이다. 출범 초부터 인사 논란,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와 ‘윤핵관’ 충돌, 만 5세 취학 정책 관련 학부모들의 반발 등 악재(惡材)가 겹치면서 지지율이 급격히 하락했다. 지난해 9월 말에 영국·미국·캐나다 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바이든·날리면’ 논란이 불거지면서 갤럽 조사에서 최저치인 24%를 기록했다.

이후 30%가량에 머물던 지지율이 지난해 말 40%에 육박하며 반등한 배경은 민주노총 화물연대 총파업과 관련해 법과 원칙에 따른 대응이었다. 하지만 3·8 국민의힘 전당대회의 ‘윤심(尹心) 논란’에 이어 한·일 관계 이슈, 근로시간 개편안과 관련한 혼선 등으로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다시 30%대 초반으로 밀렸다. 그동안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오를 때에는 노조 대응을 비롯해 노동·연금·교육 등 ‘3대 개혁’ 움직임이 있었고, 지지율이 내려갈 때에는 외교 문제와 여권 내 갈등, 정책 혼선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노무현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지지율

취임 1주년을 맞은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역대 대통령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다. 한국갤럽 자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취임 1년 무렵 지지율이 33%로 노무현 전 대통령(25%)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고 이명박 전 대통령(34%)과 비슷했다. 정부 출범 1주년 시기에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대통령은 문재인 78%, 김대중 60%, 박근혜 57%, 김영삼 55% 등이었고 노태우 전 대통령은 45%였다.

‘지난 1년간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평가’도 3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연합뉴스·메트릭스 조사에선 37.5%였고 한겨레신문·글로벌리서치 조사도 36.1%였다. 전체 유권자 가운데 보수층 비율이 대략 35% 안팎인 것을 감안하면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보수층을 제외하고 중도층까지 지지층의 확대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지지층의 외연 확대가 이뤄지지 않은 것은 현재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 여부와 지난 대선에서 투표 행위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잘 드러난다. 작년 대선 때 윤 대통령을 찍었던 유권자 중에서 여전히 지지를 보내는 경우가 70%였고 나머지 30%는 등을 돌렸다. 반면 이재명 후보를 찍었던 유권자는 아직도 93%가 윤 대통령에게 마음을 주지 않고 있다. 윤 대통령 지지층은 연령별로도 장·노년층 편중이 심하다. 글로벌리서치 조사에서는 60대(53.7%)와 70대 이상(70.1%)을 제외하고 20대(20.2%), 30대(25.1%), 40대(24.1%), 50대(29.8%) 등에선 모두 20%대에 머물렀다.

윤 대통령은 지난 1년간 각 국정 분야에 대한 평가도 저조한 편이다. 메트릭스 조사에서 분야별로 긍정 평가는 국방·외교(39.8%), 과학·기술(37.6%), 보건·복지(36.9%), 문화(36.8%), 경제(32.0%) 등으로 모두 30%대에 그쳤다. 부정 평가는 경제(63.5%)가 가장 높았고 이어 보건·복지(57%), 국방·외교(56.2%), 문화(54%), 과학·기술(52.9%) 순이었다. 경제에 대한 불만은 향후 정부가 가장 중점을 둬야 할 분야로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39.1%)이 1위에 꼽힌 것에서도 확인된다. 다음은 ‘사회갈등 해소 및 국민 통합’(18.7%), ‘정치권과 소통 확대’(13.9%), ‘한·미·일 동맹 강화 및 평화 구축’(12.0%), ‘맞춤형 복지 및 상생 근로 환경’(7.1%), ‘민간 중심 경제 전환’(6.9%) 등의 순이었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반등의 계기를 확실하게 마련하기 위해선 내년 4월 총선 승리가 절실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역대 대통령의 임기 2~3년 차에 실시된 여섯 차례의 총선과 지방선거 등 전국 단위 선거에서 집권 여당이 승리한 적이 두 번에 그쳤던 전례를 감안하면 내년 총선도 여당의 승리가 쉽지 않을 수 있다. 과거에 여당이 승리한 두 번의 선거는 노무현 정부의 2004년 총선과 문재인 정부의 2018년 지방선거였다. 2004년은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역풍, 2018년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여파 등 매우 특이한 상황에서 치러진 선거였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총선 전망은 여당에 밝지 않다. 한국리서치 조사에선 총선에서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가 49.7%로 절반 수준이었고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41.3%였다. 글로벌리서치 조사에서도 46.7%가 ‘총선에서 정권 견제를 위해 야당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했고 ‘국정 안정을 위해 여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41.1%였다. 다만 MBC·코리아리서치 조사에선 총선에서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46.2%)와 ‘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45.2%)가 비슷했다. 메트릭스 조사도 ‘만일 내일이 국회의원 선거일이라면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국민의힘(32.3%)과 민주당(30.2%)이 접전을 벌였다.

윤 대통령이 지지율을 올리기 위해선 부지런히 현장을 누비며 ‘민생’에 올인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고물가·고환율·고금리 ‘3고(高)’와 저성장이 맞물린 복합 위기의 파도가 우리 경제를 짓누르고 있는 상황에선 정부를 향한 민심이  쉽게 호의적으로 바뀌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민생고와 경제난을 해결하는 리더십을 입증해야 국민에게 감동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지지율 올리려면 ‘민생’에 올인해야

하지만 “임기 초 지지율에 너무 연연할 필요는 없다”는 지적도 있다. 집권 초기에 지지율이 고공행진했던 문재인·김영삼 전 대통령은 정권 연장에 실패한 반면 초반에 부진했던 노태우·이명박 전 대통령은 여당이 재집권에 성공한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안정적 국정 운영을 위해선 지지율이 40%대로 올라서야 한다는 견해가 많다. 전문가들은 “대통령 지지율이 40%를 넘지 못하면 전국 단위 선거에서 여당이 승리하기가 쉽지 않다”며 “대통령 지지율이 낮아서 총선에서 패할 경우엔 지지율 반등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조기 레임덕에 빠지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일각에선 “민주당도 이재명 대표 ‘사법 리스크’와 송영길 전 대표와 관련한 ‘돈봉투 리스크’, 김남국 의원의 ‘코인 리스크’ 등 겹악재에 시달리고 있다”며 “야당의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중도·보수층이 결집한다면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40%대로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조일상 메트릭스 대표는 “전 정부 탓과 야당 탓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 기간은 취임 1년이 지나면서 끝났다”며 “윤 대통령의 운명을 가를 총선 승리를 위해선 ‘캐스팅보터’인 20·30대와 소통하며 맞춤형 정책을 마련하는 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