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섭 귀국·황상무 사퇴' 비판에 대통령실은 정면돌파

2024-03-18     이한나 기자
용산 대통령실 청사 photo 뉴시스

여권에서 이종섭 주호주대사의 국내 복귀와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의 거취결정을 요구하자 대통령실이 답을 내놨다. 이 대사 이슈에 대해서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소환도 없이 국내에서 마냥 대기하는 건 매우 부적절하다고 일축했으며, '회칼 테러'를 언급한 황수석에 대해서도 언론사 관계자를 상대로 강압이나 압력을 행사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해당 논란에 대해 정면 돌파를 선택한 것이다.

대통령실은 18일 오전 입장문을 통해 "이 대사는 공수처의 소환 요청에 언제든 즉각 응할 것"이라며 "공수처가 조사 준비가 되지 않아 소환도 안 한 상태에서 재외공관장이 국내에 들어와 마냥 대기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이 대사에 대한 검증 과정에서 고발 내용을 검토한 결과 문제 될 것이 전혀 없었다고 판단했고, 공수처도 고발 이후 6개월간 소환 요청을 한 번도 한 적이 없다"고 했다.

이어 "이 대사는 대사 부임 출국 전 스스로 공수처를 찾아가 4시간가량 조사를 받았고, 언제든 소환하면 귀국해서 조사를 받겠다고 했다"며 "공수처도 다음 기일 조사가 준비되면 소환 통보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법무부에서만 출국금지 해제 결정을 받은 게 아니라 공수처에서도 출국 허락을 받고 호주로 부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사 발탁에 대해선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한·미·일 호주와의 안보협력과 호주에 대한 대규모 방산 수출에 비추어 적임자를 발탁한 인사"라고 강조했다. 

황 수석의 '언론인 회칼 테러' 발언 논란에 대해선 "특정 현안과 관련해 언론사 관계자를 상대로 어떤 강압 내지 압력도 행사해 본 적이 없고, 하지도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대통령실은 "우리 정부는 과거 정권들과 같이 정보기관을 동원해 언론인을 사찰하거나 국세청을 동원해 언론사 세무사찰을 벌인 적도 없고, 그럴 의사나 시스템도 없다"며 "언론의 자유와 언론기관의 책임을 철저하게 존중하는 것이 우리 정부의 국정철학"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공수처 수사 중 출국 논란이 일었던 이 대사의 귀국을 촉구한 바 있다. 또한 황 수석에 대해서는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사실상 사퇴를 촉구한 것이다.

한 위원장뿐 아니라 국민의힘 중진인사들로부터 해당 논란들과 관련해 비판적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친윤(친윤석열)계 인사로 알려진 김은혜 대통령실 전 홍보수석도 전날 이 대사의 소환, 황 수석의 자진사퇴를 요구하기도 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