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 3조라던 트럼프는 왜 자금난 몰렸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자금난에 빠졌다. 일각에서는 파산의 위기라는 표현도 쓴다. 다름아닌 법원 공탁금 때문이다. 각종 사법 리스크로 엄청난 법률비용을 지출하고 있다보니 조 바이든 대통령과의 경쟁에서도 선거 자금이 딸린다. 공화당 대선 후보로 조기에 확정됐지만 막상 중요한 본선을 앞두고서 실탄 부족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3월 21일(현지시간) CNN,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연방선거관리위원회(FEC)는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 전국위원회(RNC)가 보유하고 있는 후원금이 4190만달러라고 밝혔다. 반면 바이든 대통령과 민주당의 후원금은 1억5500만달러였다. 무려 트럼프 진영과 비교해 3배 이상 많은 액수다.
공화당 후보 확정 뒤 트럼프 전 대통령 선대위 쪽에 들어온 후원금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2030만달러의 후원금이 들어왔는데 이것 역시 같은 시기 5300만 달러를 모은 바이든 측과 비교하면 크게 밀리는 모양새다.
월가 후원자들 "내 돈 선거가 아닌 재판에 쓰일까 두려워"
게다가 월가의 후원자들은 자신들이 낸 후원금이 선거가 아닌 재판에 쓰일까 염려하고 있다. 선뜻 후원하기 쉽지 않은 상황인 셈이다. 현재 ‘사법 리스크’에 시달리고 있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공탁금을 낼 때 후원금을 쓰고 있다.
지난 2월 맨해튼 지방법원은 은행 대출을 쉽게 받기 위해 보유한 골프장 등 자산 가치를 20억 달러 가량 부풀린 혐의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3억5500만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항소를 하려면 벌금 지연 이자까지 총 4억5400만달러(약 6000억원)를 공탁해야 하는데 납부 기한이 3월 25일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현재 이 6000억원 마련에 난항을 겪고 있다. 그의 개인 자산은 포브스 집계 기준 25억 달러에 달한다. 우리 돈으로 약 3조원 가량이다. 하지만 트럼프의 순자산은 부동산 비중이 높다. 반면 미 언론은 공탁금을 대납해주는 미국의 보증채무 채권사들은 부동산을 담보로 받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트럼프측 변호인단은 공탁금 마련을 위해 중개업체들과 협상을 벌였지만 모두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측 변호인단은 공탁금을 4분의 1 수준인 1억 달러로 낮추거나, 항소심이 끝날 때까지 1심 벌금형 집행을 연기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반면 원고 측인 레티티아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은 “나는 매일 월스트리트 40번지(트럼프 빌딩의 위치)를 보고 있다”며 압류 절차에 언제든지 돌입할 수 있다고 예고한 상황이다.
문제는 앞으로도 이와 비슷한 과정을 더 거쳐야 한다는 점이다. 트럼프 앞에는 이번 판결만 놓여있는 게 아니다. 기밀 문서 유출, 성추문 입막음 혐의 등 4건의 기소가 더 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