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달라졌다...보수도 독려 나선 '사전투표'
사전투표를 둘러싸고 국민의힘에서는 작은 소동이 있었다. 공식 선거운동 첫 날인 3월 28일, 홍석준 국민의힘 선대위 종합상황실 부실장이 한 발언 때문이다. 그는 "지지자들 중에서는 아직까지도 문제 제기를 하시는 분들도 있고 해서 사전투표 독려까지는 현재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강성 보수층에서는 사전 투표를 둘러싸고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데 홍 부실장이 여기에 동의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논란이 일자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시간 여 만에 수습에 나섰다.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국민의힘은 사전투표 독려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도 이날 오후 서울 성동구 왕십리역 광장에서 열린 지원 유세에서 사전 투표에 적극 가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사전투표, 투표 제도에 대해 걱정하는 분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번 선거부터 우리가 바꿨다. 모두 수개표를 병행한다”고 말했다.
비중 높아진 사전투표 무시할 수 없어
그동안 국민의힘은 사전 투표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사전투표 참여자가 많아 투표율이 올라갈 경우 불리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실제로 그간 총선에서 투표율이 높을 경우 야권에 유리한 결과가 나왔다. 지난 2020년 총선 때는 투표율이 66.2%에 달했고 민주당은 180석을 얻어 압승했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이 사전투표에 적극 참여해 달라고 독려하고 나선 건 결국 지지층을 투표장으로 많이 끌어내는 쪽이 선거판에서 승리하기 때문이다. 유권자들도 점점 사전투표에 익숙해지고 있어서 사전투표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
지난 21대 총선 사전투표율은 26.7%였는데 전체 최종 투표율(66.2%)의 40.3%를 차지했다. 2016년 20대 총선 때의 사전투표율(12.2%)과 비교하면 21대 사전투표율은 두 배 이상 올랐다. 지난 2022년 대선에서는 전체 투표자 중 절반 가량인 47.8%가 사전투표를 택했다. 같은 해 열린 지방선거도 투표자의 40.5%가 사전투표를 선택했다. 지지층을 끌어내기 위해서라도 사전투표는 필수적으로 권장해야 할 제도가 된 셈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