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후보 사라져? 정권심판 민심 잘 받들겠다"
[인터뷰] 김종민 새로운미래 세종갑 후보
지난 3월 25일 세종시에 위치한 선거캠프에서 김종민 새로운미래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을 만났다. 그는 굵은 빗줄기가 종일 이어지던 날씨임에도 묵묵하게 선거활동을 벌이고 있었다. 김 위원장은 이번 총선에서 본래 지역구(논산시·계룡시·금산군) 대신 세종갑 출마를 선택했다. 반(反)이재명을 외치며 민주당을 탈당한 후 이낙연 전 대표와 함께 새로운미래를 창당하면서 새로운 도전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세종갑은 전통적인 민주당 우세 지역. 민주당의 아성을 뛰어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던 그에게 ‘행운’이 찾아왔다. 세종갑 이영선 민주당 후보가 ‘부동산 의혹’으로 후보에서 탈락하면서 민주당이 후보 등록을 포기한 것이다. 참고로 여론조사꽃이 지난 3월 25일부터 26일까지 세종특별자치시 갑 선거구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5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새로운미래 김종민 후보가 26.1%, 국민의힘 류제화 후보가 19.8%의 지지를 각각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일부 민주당 표심을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훨씬 유리한 구도에서 총선을 치르게 된 김 위원장은 인터뷰 내내 ‘정권심판’과 ‘민심’을 언급했다. 그가 강조한 민심에는 새로운미래가 저조한 지지율을 벗어나지 못하는 데 대한 자성과 회초리질도 담겨 있었다. 다음은 김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 더불어민주당 이영선 의원이 ‘부동산 의혹’으로 탈락함에 따라 국민의힘 류제화 후보와의 1대1 구도가 됐다. 유권자도 혼란스러울 것 같다. “사실 당선 가능성이 높진 않지만 도전한다는 마음으로 나왔다. 당선이 안 되더라도 목소리 내고 미래를 향한 메시지를 남기자는 마음으로 나왔다. 하지만 처음 3자 구도 때와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훨씬 더 긴장하게 되고 큰 책임감을 갖게 된다. 민주당 지지자들에겐 지금 상황이 혼란스러울 것이라고 본다. 이 상황에서 윤석열 정권을 심판해야 하는, 민심을 가장 잘 결집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있다.”
- 민주당 표심을 얼마나 흡수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표심을 흡수한다는 말은 좀 그렇다. 민심은 천심이다. 선거를 치르면 민심이 드러난다. 선거가 갖는 가장 큰 역할이다. 제3지대 창당, 양당 심판 등 여러 시도를 해오고, 탈당과 신당을 경험하면서 지금 대한민국 민심의 핵심은 검찰정권에 대한 심판임을 확인하고 있다. 결국 민심을 잘 받드는 길이 선거에 임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다. (현 정부의) 오만하고 독주하는 상황을 바로잡지 않으면 민생도, 미래도 없다는 생각이다. 우리 국민들의 정권 심판에 대한 민심을 잘 받들어야겠다고 생각한다.”
- 세종시는 젊은 층 유권자 비중이 큰 곳으로 꼽힌다. 국민의힘 류 후보가 지역 인재라는 점과 40대로 비교적 젊다는 점이 표심에서 유리하게 작용하지 않을까. “젊은 유권자라고 젊은 후보나 정치인을 꼭 찍는다는 보장은 없다. 우리 지역 유권자들은 미래지향적인 분들이다. 기존의 낡은 사고방식, 관행, 제도에서 벗어나 미래를 향해 뛰려는 점이 젊은 유권자들의 가장 큰 특징이라 본다. 하지만 미래로 향하는데 윤석열, 검찰정권의 행태가 발목을 잡는다. R&D 예산 삭감만 놓고 봐도 대한민국 미래를 완전히 깎아버린 셈이다. 복구하는 데도 몇 년 걸린다. 세종은 젊은 연구자도 많다. 이분들이 윤 정권에 어떤 심판을 할지 정말 냉정하게 잘 생각해야 한다.”
- ‘정권심판’은 민주당과 조국혁신당도 강조하는 부분인데. “야당을 탄압하고 수사하면서도 자신들과 관련된, 이를 테면 이태원 참사 관련 행안부 장관 논란, 해병대 외압 의혹 국방부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대통령 부인의 명품백 수수 의혹, 도이치 주가조작 등 제대로 조사한 게 아무것도 없다. 민생에도 무능하다. 물가는 높고 고금리 때문에 힘들다. 시장의 문제니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대책을 강구해야 하는 것 아닌가. 이 문제에 대해 여당이 총선 앞두고 이런저런 정책을 내놓지만 이미 늦었다. 2년 동안 정권 잡고 아무것도 안 했는데 선거 앞두고 방안을 내놓는다고 국민들이 믿을까. 이 정권 심판의 방향은 조국혁신당, 민주당과 차이가 없다고 본다. 다만 어느 하나의 정당만 이 정권 심판하자고 하면 효과가 떨어진다. 회초리도 3개면 안 부러지듯 여러 정당이 같이 합세해 다수의 목소리를 내야 정권 심판도 할 수 있고 정권 교체도 할 수 있다.”
- 총선 이후 민주당과의 합당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나. “민심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다. 선거 민심이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그때 가서 논의하면 된다. 다만 연대와 협력, 연합은 지금 얘기할 수 있다. 당을 따로 하더라도 목표와 뿌리는 같다. 서로 차이가 있지만 힘을 합치고 연합하는 것이 어떻게 보면 민심을 따르고 미래를 위한 길이다. (정권심판) 바로잡지 않고는 새로운 미래로, 바른 민주주의로 못 간다.”
- 본래 지역구가 아닌 세종갑을 택한 이유는. “당선이 목적이기보다 국민께 어떤 메시지를 남겨야 할까를 고민했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미래를 얘기하고 싶었다. 새로운미래가 당명이지 않느냐. 대한민국의 미래를 향해 앞장서가고 있는 선도적 도시가 세종이라고 봤다. 세종에서 대한민국 미래에 대해 얘기를 해보자는 점이 가장 큰 이유다. ‘행정수도 완성을 통한 자치분권 국가로 가자’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가장 큰 이유다. 또 이 부분을 제일 처음 언급한 분이 노무현 전 대통령이다. 그분의 못다 이룬 꿈과도 연결된다. 20여년이 지났지만 성사 안 된, 아직 멈춰 선 꿈이다.”
- 본인의 주요 공약과도 이어지는 부분 같다. “가장 강조하고픈 공약이 행정수도의 완성이다. ‘100만 세종을 만들자’가 제 공약 슬로건이다. 하지만 100만 세종을 만들 첫 방아쇠가 필요하다. 그 방아쇠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다. 대통령 주 집무실의 조기 이전이 중점적으로 약속하고 싶은 공약이다.”
- 대통령실까지 이전하면 혼란이 오진 않을까. “중앙부처는 거의 다 과천에서 세종으로 내려왔다. 대통령과 국회만 내려오면 된다. 대통령과 국회는 막강한 힘이다. 힘이 세니 안 내려오는 것이다. 거꾸로 가는 상황이다. 노무현 대통령이었다면 먼저 대통령이 내려왔을 텐데 윤석열 대통령은 약속을 안 지키고 있다. (22대 국회 입성하면) 관련법을 하나 만들 것이다. 행복도시법 16조 2항을 보면 ‘대통령 집무실을 (세종시에) 둘 수 있다’는 규정이 있다. 이것을 ‘둔다’는 의무 규정으로 바꿀 것이다. 집무실 이전에 속도가 붙을 것이고 강제력이 생기지 않겠나.”
- 새로운미래가 제3지대 정당으로서 큰 동력을 못 받는다는 지적이 많다. “탈당과 신당 창당, 제3지대 구축 등 여러 시도와 노력을 하면서 생각했던 부분이 맞는 것도 있지만 틀린 점도 있다는 걸 깨달았다. 반성할 부분도 있다. 선거가 끝나면 제3지대 운동에 대해 냉정하게 종합평가를 해보려 한다. 성찰하고 반성할 건 반성하고 뭔가 새롭게 변할 건 변해야 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다양한 민주주의와 다당제를 원하는 민심은 분명 있다고 본다. 제3지대라는 정당들이 아직 준비가 안 돼 있다. 국민의 신뢰를 얻을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정당을 만들고 총선에 뛰어들며 민심들을 다 담지 못했다. 지지율이 저조한 점을 부인할 순 없다.”
김 후보는 “다당제 민주주의가 바람직한 방향이라는 소신에는 변함이 없지만 국민이 다당제라고 다 찍어주진 않는다. 자격이 되고 준비가 됐을 때, 민심을 담을 그릇이 제대로 돼 있을 때 표를 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