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섭 사퇴' 與 "민주당과 달라" VS 野 "진작 물러났어야"
출금해제 특혜 논란이 일은 이종섭 주호주대사가 29일 사의를 표명한 것을 두고 여야 간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야권에서는 진작 해임했어야 한다며 윤석열 대통령 책임론을 강조하고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다. 반면 정부 여당인 국민의힘은 국민의 뜻에 순응했다면서도 "공세와 공작에 혈안인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가장 선명한 차이"라며 날을 세웠다.
강민석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29일 논평에서 "진작 물러났어야 한다"면서도 "이 대사가 물러난 것만으론 미봉에 지나지 않다"고 비판했다.
강 대변인은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것은 출국금지 된 피의자를 윤 대통령이 주호주대사에 임명해 해외도피 의혹을 자초했기 때문"이라며 "이 대사는 사의 표명을 통한 사퇴 수순이 아니라 윤 대통령이 해임시켰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도주 대사' 파문과 외교 결례 사태를 초래한 데 대해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동영 새로운미래 선임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윤 대통령은 지금 피의자 이종섭의 사표를 당장 수리하고 공수처의 엄정한 수사를 지시하라"며 "대통령 본인도 국민에게 사과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22대 국회의 첫번째 책무는 해병대 채상병 죽음의 진실을 밝히고 책임자를 처벌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인성 개혁신당 선대위 대변인도 "너무 늦었고 너무 무례하다"며 "이종섭 대사의 잘못된 임명과 도주 등이 불러일으킨 국정혼란과 국민들의 분노에 대해 사과 한 마디 없다"고 질타했다.
국민의힘은 이 같은 여권의 공세에 "기다렸다는 듯 정치 공세에 화력을 집중했다"면서 반격에 나섰다.
박정하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공보단장은 이날 논평에서 "오늘 이 대사가 사의를 표명했고 대통령은 이를 수용했다"며 "국민의힘은 민심에 순응하며 변화하고 실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주당을 겨냥 "이것이 공세와 공작에 혈안인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가장 선명한 차이"라면서 "대사직을 수행하던 공직자에 도피 프레임을 씌우며 기어이 외교 결례까지 무릅쓰게 했는데 이 정도면 정치 공작이라 해도 무방하지 않나"라고 맞대응했다.
그러면서 박 대변인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를 겨냥 "이종섭 대사 의혹을 두고 공수처는 수사는커녕 소환조사조차 어렵다고 입장을 밝혔다"며 "수사 준비도 안 된 사안에 대해 수사 기관이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정치적 연안에 뛰어들어 입장까지 내며 불을 지핀 셈"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해병대 채 모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으로 공수처의 수사를 받던 중 출국해 논란이 일던 이 대사는 사의를 표명했다. 그는 입장문을 통해 조태열 외교부 장관에게 사의를 표명했다면서도 "공수처는 아직도 수사 기일을 잡지 않고 있다. 서울에 남아 모든 절차에 끝까지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사의 사의 표명은 지난 4일 임명된 지 25일 만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