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軍 가자 남부 철수, 팔레스타인에도 봄이 오나?
이스라엘군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남부에서 지상군 병력 상당수를 철수했다고 발표하면서 휴전 신호탄이 될지 주목된다.
영국 가디언과 미국 CNN 등에 따르면 7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의 남부 병력 철수 발표가 휴전 협상이 재개되는 시점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수개월간 교착상태에 빠졌던 협상이 이번에는 결실을 볼 수도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CNN 방송도 이번 철수는 "전투에서 중요한 순간"이며 이스라엘이 "전쟁을 계획하는 방식에 있어 중요한 전환"이라고 평가했다.
이스라엘 언론은 이스라엘 정부가 인질 석방 조건을 두고 중단된 휴전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협상 대표단을 이집트 카이로로 보낼 계획이라고 전했다. 카이로에서는 미국과 이집트, 카타르가 중재하는 휴전 협상이 재개됐다. 타임스오브이스라엘에 따르면 이스라엘군 대변인은 7일(현지시간) “간밤에 1개 여단을 제외한 지상군 병력 대부분을 가자지구 남부에서 철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가자지구 남부에 남아 있는 유일한 부대는 ‘넷자림 통로’를 지키는 나할 여단이라고 전했다. 넷자림 통로는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를 남북으로 분할하기 위해 남부 베에리 인근 가자지구 동쪽 분리 장벽에서 서쪽 지중해 해변까지 뚫은 관통 도로다. 다만 대변인은 철수 배경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았다.
이번 협상에 참여하는 이스라엘 대표단은 팔레스타인 피란민이 가자지구 북부로 돌아가는 것을 비롯해 협상 관련 모든 문제에서 좀 더 유연한 태도를 보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한 이스라엘 당국자가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전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가자지구의 인도적 위기가 심화하면서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휴전 압박을 받고 있다. 이스라엘 국내에선 인질을 하루빨리 데려오기 위해 협상에서 보다 유연하게 대응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다만 가디언은 이스라엘군의 남부 병력 철수 자체에 대해서는 전략상의 중요한 전환이라기보다는 주로 4개월간 격렬한 전투에 참여했던 예비군을 돌려보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번 병력 철수가 하마스의 최후 보루로 여겨지는 가자지구 최남단 도시 라파 공격 지연을 의미하는지도 분명치 않다. 군사 분석가들은 이번 병력 철수가 라파 지상 작전이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의미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이스라엘은 하마스 지도부와 잔당이 은신한 것으로 여겨지는 라파에서 지상전을 고집해왔고,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140만명에 달하는 피란민의 안전을 우려하며 이를 만류해왔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