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삼성역, 개통 지연으로 ‘흥행 부진’...정부가 손실 부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노선의 핵심 정차역인 삼성역의 개통 지연으로 정부가 사업 시행사 손실을 보전해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용객이 당초 예상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1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GTX-A 수서∼동탄 구간이 지난달 30일 개통한 뒤 전날까지 이용자 수는 평일 평균 7898명, 휴일 평균 1만 1338명으로 집계되었다. 국토부는 당초 이 구간의 평일 수요를 2만1523명, 주말 수요를 1만6788명으로 예측했다. 이것은 평일 이용은 예상의 36.7%, 휴일 이용은 67.5%에 그친 결과다.
평일 이용객이 예상보다 적은 것은 핵심 정차역인 삼성역의 개통 지연이 가장 큰 이유다. 2021년 감사원의 국가철도공단 정기감사에 따르면 삼성역 승·하차 수요는 GTX-A 삼성∼동탄 구간의 30%로 추정되었다. 삼성역은 애초 2021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되었지만 역과 연계한 영동대로 복합 개발 사업이 지연되고 서울시와 정부가 사업비 문제로 갈등을 빚으면서 2028년 이후로 늦어졌다.
문제는 GTX-A 이용객 부진에 따른 손실을 정부가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가 SG레일과 지난 2018년 12월 체결한 'GTX-A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은 국토부가 운정∼서울역 개통(올해 말)부터 삼성역 개통(오는 2028년)까지 사업 시행사인 SG레일에 삼성역 미개통에 따른 운영이익 감소분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삼성역 미개통으로 인한 손해 액수가 연간 500억원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국토부가 서울시에 책임을 물어 구상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국토부측은 “삼성역 건설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서울시와 함께 총력을 다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