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이준석 2027년 대선주자 될 것, 한동훈은 1년 쉬어야"

2024-04-17     이한나 기자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오른쪽)가 김종인 전 개혁신당 상임고문에게 마이크를 넘겨주고 있다. photo 뉴시스

김종인 전 개혁신당 상임고문이 이준석 대표에 대해  "2027년 대선 주자의 한 사람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다"고 말했다.

김 전 고문은 1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그때쯤 되면 소위 지도자의 세대가 바뀌는 세대가 돌아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2027년이 되면 지금 87년 헌법 체제가 만 40년이 되는 때"라며 "지금 6공화국의 헌법 체제를 가지고서 나라가 상당히 경제, 정치,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이는데 이를 뚫고 나가려 할 것 같으면 세대가 바뀌는 시점이 도래해야 된다"고 부연했다.

다음 대선 주자로 야권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재명 대표가 나올 가능성에 대해선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고 했다. 그는 "거기도 또 새로운 젊은 사람이 나올지, 이 대표가 나올지 아무도 모른다"며 "부동의 1위여도 3년 사이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고 말했다.

정부여당의 총선 참패 책임을 지고 물러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해선 "1년 정도 쉬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한 전 위원장은 상당한 진통의 과정을 겪어야 한다"며 "무조건 쉬면 안 되고 자기 나름대로 일반 국민에게 자기 이미지를 어떻게 형성하느냐를 노력을 해가면서 시계를 보는 그런 과정을 거쳐야 된다"고 말했다.

김 전 고문은 "정치 경험이 없이 선거를 관리하는 데 뛰어들었고 선거를 패함으로 인해 본인이 적지 않은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다"며 "(국민의힘)전당대회에 당장에 또 나타나게 되면 또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한 전 위원장이 이번 총선을 지휘하면서 이미지 소모가 심했기 때문에 정치권에 재등판하기 위해서는 준비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김 전 고문은 최근 홍준표 대구시장이 한 전 위원장 책임론을 들고 ‘우리 당에 오지 말라’ 비판하는 것에 대해선 "홍 시장 개인적인 생각일뿐"이라고 일축했다.

야당 텃밭 서울 도봉갑에서 보수정당 후보로는 12년 만에 당선된 김재섭 당선인에 대한 평가도 했다. 최근 차기 당 대표로 김 당선인이 거론되는 것과 관련해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하지 않는 게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김 전 고문은 "김 당선인의 미래를 위해서 지금은 그런 데 같이 끼어들어가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지금 분위기에서 김 당선인이 설사 당 대표가 된다고 하더라도 결국 가서는 또 이준석 꼴이 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정치의 풍토에서 보면 나이 젊은 사람이 위에 앉아서 옛날 나이 많은 사람들을 지배하는 그 꼴을 못 본다"고 지적했다. 과거 이준석 대표가 국민의힘 대표였던 시절 윤석열 대통령과의 마찰 등으로 당에서 나온 점을 염두에 두고 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