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11월 '美 대선' 전 핵실험?...‘방사능 지하수’ 우려

2024-04-22     이정현 기자
2018년 5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언론에 공개된 실험장 폐쇄 폭파작업. photo 뉴시스

북한의 7차 핵실험 감행이 예상되는 가운데 북한이 대미 협상력 확보를 위해 11월 미국 대선 전에 핵실험을 감행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2일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북한의 7차 핵실험 전망과 대응방안'을 주제 개최한 NK포럼에서 이상규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이 핵무기 완성도 검증 등을 위한 기술적 필요와 대미 협상력 확보를 노리고 오는 11월 미국 대선 전에 7차 핵실험을 강행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 근거로 한미 간 핵 전략 기획·운용 지침 작성 등 가시적 성과를 예고한 6월 핵협의그룹(NCG) 3차회의 이후와 11월 미국 대선 사이에 7차 핵실험을 감행하면 국제 사회를 압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정성윤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실장은 “중국과 러시아가 추가 제재에 동조할 수 있고, 중국은 북중 접경지역의 피해 우려와 역내 미일 영향력 강화에 거부감이 크다”며 연내 핵실험 강행에 부정적 의견을 밝혔다. 

북한 핵실험 가능성을 놓고 의견이 갈리는 가운데 7차 핵실험으로 인한 지진이나 식수 오염 가능성도 제기됐다. 조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핵실험 이후에 (지반 내) 응력 교란에 의해 단층이 운동을 시작해 이후 지체구조에 힘이 지속해서 작용하면서 불안정한 상태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지하수면 아래에서 핵실험을 할 경우 폭발 후 발생한 공동(빈 공간)으로 주변 지하수가 들어차게 된다"면서 "질량이 작은 핵종은 공동 내 벽 또는 무너진 돌무더기 표면에 존재할 수 있어 지질환경과 지하수 유동 특성에 따라 주변 환경으로 누출될 수 있다"며 위험성을 지적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