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국방 “러시아 간 북한군, 파병 아닌 ‘용병’이라 해야”

"김정은이 인민군을 팔아넘긴 것… 미 대선 앞두고 ICBM 발사할 수도"

2024-10-24     이용규 기자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국방부 등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북한군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을 두고 "파병이 아닌 ‘용병’이라고 하는 것이 맞는다"고 언급했다.

김 장관은 24일 오전 국회 국방위원회의 국방부 상대 국정감사에 출석해 “말이 파병이지 사실은 총알받이 용병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통상 파병을 하면 그 나라 군대의 지휘체계를 유지하고, 그 나라의 군복이나 표식, 국기를 달고 자랑스럽게 활동한다”며 “러시아 군복으로 위장을 하고 있고, 러시아 군 통제 하에 아무런 작전 권한도 없다”고 밝혔다.

북한의 참전 이유에 대해서는 “김정은이 자기 인민군을 불법 침략 전쟁에 팔아넘긴 것”이라며 “자신의 독재 정권을 공고히 하기 위해”라고 언급했다. 또 “이런 것이 들통날까봐 주민들에 알리지 않고 쉬쉬하고 있는 상태”라고 김 장관은 꼬집었다.

김 장관은 작년 9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의 비공개 정상회담 이후 병력 파병의 큰 전환점이 있었다며 “포탄은 1000만 발, 병력은 1만2000명 정도 규모가 파병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추정했다. 김 장관에 따르면 현재까지 약 3000명이 러시아로 파병됐다.

김 장관은 또 북한이 오는 11월 5일 미국 대선을 앞두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북한은 지금까지 고각 발사를 위주로 했는데 이번에 한다면 재진입 시험을 성공적으로 하는 것이 목표”라며 “정상적 각도로 발사해서 시험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지적했다.

ICBM의 정상각은 30∼45도인데, 북한은 이보다 높은 각도로 쐈다. 정상적으로 발사하면 대기권 재진입을 시험할 수 있고 사거리도 최대 사거리에 근접한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