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도 김동연도… 이재명 위기에 비명계 꿈틀
김부겸 비명 인사들과 '특강' 열고 김동연 경기도에 '원조 친노' 모아 우선 1심 선고 비판하며 표정관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으면서 , 민주당의 ‘대권 구도'도 요동칠 조짐이 보이고 있다.
먼저 비명계 전직 의원들이 주축인 ‘초일회’는 내달 1일 김부겸 전 국무총리를 초청해 특강을 진행한다. 내년 1월에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나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초청할 계획이다. 민주당의 ‘신 3김’으로 꼽히는 김부겸 전 총리, 김경수 전 지사, 김동연 지사를 연달아 만나는 것이다. 잠행하던 이들이 비명계 원외 조직과 만나 활동 폭을 조금씩 넓힐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김동연 지사는 지난 총선에서 원외 인사가 된 비명계 인사들을 일찌감치 경기도로 영입했다. 특히 '원조' 친노, 친문계를 모으는 움직임이다. 친문계 핵심이었던 전해철 전 의원을 도정 자문위원장에 위촉하고, 그밖에 노무현 정부, 문재인 정부 당시 청와대 비서실 인사들을 정책실 등에 포진시켰다. 강금실 전 법무부장관을 경기도 기후대사로 영입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공개적으로 거론하기도 했다.
총선 이후 잠행하던 박용진 전 의원도 내년 1월부터 정치 활동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초일회 일원이기도 한 박 전 의원은 ‘정치와 미래’ 포럼을 발족하고 공개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올 전당대회에서 이재명 대표의 상대로 경쟁했던 김두관 전 의원도 18일 대통령실 앞에서 대통령 임기단축과 개헌 추진을 요구하며 1인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다만 비명계는 우선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내달 1일 특강을 앞둔 김부겸 전 총리 측은 별도 공지를 통해 “특강은 미국 대선 얘기로 한정하고, 국내 정치에 관해서는 다루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대표의 판결과 무관한 행사라는 것을 강조하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것으로 보인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도 16일 “이 대표에 대한 1심 법원의 판단은 누가 봐도 가혹하다”고 비판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