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손 사업가'라 불리던 북한 부부..."오만하다"고 주민 앞에서 총살
북한에서 개인 사업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지역사회에서 '큰손'으로 통하던 50대 사업가 부부가, 사업 확대 이후 태도가 오만해졌다는 이유로 공개 처형된 것으로 알려졌다.
18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이 부부는 전기자전거·전동 오토바이 부품, 일반 자전거 판매·수리·대여 등 여러 사업을 운영하며 상당한 성공을 거뒀다. 그러나 사업 규모가 커진 뒤 거만해지고 "반공화국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는 이유로 당국에 체포돼 결국 공개 처형됐다.
부부는 평양 사동구역 조선직업총동맹 중앙위원회에 정식 등록된 사업가였지만, 부업으로 큰 이익을 챙겼다는 점, 상품 가격이 높고 품질이 좋지 않다는 주민들의 불만, 그리고 부부의 태도가 불친절하다는 지적 등이 쌓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당국은 8월 초 부부를 체포해 공동심문을 진행한 뒤 9월 초 사형을 선고했다. 관련된 20여 명도 추방 또는 재교육 처분을 받았다. 이들은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위반 혐의로 기소됐고, 외부 조직과 연계해 외화를 불법 반출하고 반국가적 메시지를 유포했다는 혐의도 적용됐다.
처형은 평양의 한 야외 공간에서 총살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주민 200여 명이 강제로 참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린아이들까지 동원됐다는 증언도 나왔다. 당국은 주민들에게 이번 처형이 "경제질서 교란 방지와 주민 교양을 위한 본보기"라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데일리메일은 이번 사건이 "외부와의 연결 고리를 차단하고 민간 사업 활동을 더 강하게 통제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라고 분석했다.
한 소식통은 "외국과 협력하더라도 북한 내부 규율에서는 예외가 없다"며 "국가가 허용한 범위를 넘는 민간 사업 활동을 차단하려는 조치"라고 전했다. 이번 사건 이후 사업가들 사이에서는 "누구나 언제든지 잡혀갈 수 있다"는 공포가 퍼졌고, 시장 활동도 며칠 동안 급격히 위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부부와 연관된 업체들은 곧바로 사라졌고, 배터리 및 각종 부품 가격은 폭등하거나 공급이 중단되는 혼란이 이어졌다.
북한은 주민 통제와 '반공화국적' 행위 억제를 위해 공개 처형을 지속해 왔다. 대부분 총살형으로 진행되며, 주민들에게 참관을 강제하는 경우가 많다. 외부 콘텐츠 유포 같은 행위도 사형 대상이 된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한국의 K팝을 퍼뜨렸다는 이유로 22세 청년이 처형됐다는 사례가 보도된 바 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