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상승, 지방 정체'...내년 주택시장 양극화 더 뚜렷해진다

2025-11-26     이정현 기자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인근 아파트 전세·매매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 photo 뉴스1

내년 수도권 주택 가격이 올해보다 2~3%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지방은 수요 약세와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보합 또는 1% 내외 하락이 예상돼, 수도권과 지방 간 주택시장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25일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주택 경기 전망 발표' 세미나에서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발표를 맡은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올해 주택시장은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뚜렷했다"며 "수도권은 매수심리와 거래, 가격 모두 회복됐지만,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약세로 하락과 정체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내년 수도권 주택시장은 착공 감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3기 신도시 개발 지연 등 구조적 공급 부족 요인이 이어지면서 2~3%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지방은 인구 감소와 수요 기반 약화 탓에 보합 또는 1% 내외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전세 시장도 수도권은 3%, 지방은 2% 상승이 예상된다. 고 부연구위원은 "전세대출 규제와 기존 세입자의 계약 갱신 증가로 전세 매물이 줄어 공급 축소에 따른 가격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내년 주택 공급은 올해보다 착공이 약 6% 증가하고, 준공은 약 2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 부연구위원은 "2022~2023년 침체기에 급감한 착공 실적 여파로 2025년 이후 준공 물량은 감소하겠지만, 2023년 저점 이후 착공이 회복세로 전환되고 공사비 안정 등 공급 환경 개선으로 실적 회복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