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생산하는 국가 통계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인 소득주도성장의 실효성을 측정하는 데 통계청 통계가 사용되면서입니다. 지난 5월 소득분배 지표가 최악으로 나오고 문재인 대통령이 긴급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연 뒤 통계청이 발표하는 소득분배지표와 고용동향은 모두의 관심사가 됐습니다.

통계청 통계가 정책 시행의 근거로 작용할 때 생기는 장점은 명확합니다. 지표와 숫자라는 나침반이 있으니 모두가 객관적으로 납득할 수 있습니다. 정책을 시행할 때 발생하는 불필요한 갈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면 모두가 통계청의 통계를 주목하면서 생기는 단점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통계청 재직자들이 느끼는 압박감입니다. 각계의 힘 센 이들이 통계청 통계를 바라보니 통계 생산자들의 압박감이 점점 심해진다고 합니다. 통계는 객관적 수치이지만, 사람이 생산하는 것인 만큼 현상을 최대한 보수적으로 해석할지, 그렇게 하지 않을지 정도까지는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이 통계 생산자들의 솔직한 설명입니다.

국립국어원은 통계를 ‘어떤 현상을 종합적으로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일정한 체계에 따라 숫자로 나타냄’이라고 정의합니다. 통계는 우리 경제·사회 현상을 있는 그대로 나타내야 합니다. 그래야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저녁까지 잠긴 현관문을 두드리며 통계를 생산하는 조사관들의 노력이 헛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배용진 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