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걸린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photo 뉴시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걸린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photo 뉴시스

52주 ‘신저가’를 경신하며 한때 장중 5만 원대로 떨어진 삼성전자가 일부 국가에서 인력 감축 소식도 전해지면서 추가 하락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일 전 거래일보다 200원(0.33%) 하락한 6만1300원에 마감했다. 개장 직후에는 5만9900원까지 내려가면서 ‘5만 전자’를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3월 16일 이후 약 1년 7개월 만이다.

삼성전자의 주가 하락은 미국 반도체주의 부진과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 확대, 외국계 증권사 맥쿼리의 목표 주가 하향 조정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맥쿼리는 삼성전자의 투자 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낮추고, 목표 주가를 12만 5000원에서 6만 4000원으로 대폭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이는 메모리 시장의 다운 사이클 진입과 공급 과잉 때문에 삼성전자의 수익성 악화가 예상때문으로 풀이된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납품이 늦어지면서 주가 상승 모멘텀이 약해졌다는 평가도 이어졌다. 삼성전자의 2026년 HBM 매출액은 130억 달러로, 경쟁사 SK하이닉스(300억 달러)의 43%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진단도 제시됐다. 이에 국내 증권가 역시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동남아시아와 호주, 뉴질랜드에서 수천 명의 직원을 해고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추가 하락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1일(현지시각) 미국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들 지역에서 인력의 약 10%에 해당하는 감원을 진행 중이며,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약 10%의 인력이 감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삼성전자 측은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일상적인 인력 조정"이라고 밝히며, 특정 직책이나 구체적인 목표치는 설정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은 상황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