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가수 임영웅과 나훈아. photo 뉴시스 / 편집 주간조선
왼쪽부터 가수 임영웅과 나훈아. photo 뉴시스 / 편집 주간조선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명 연예인들의 공연 및 팬미팅 티켓을 대량 구매한 뒤 되팔아 수익을 낸 암표상 7명이 경찰에 적발됐다. 

서울경찰청 범죄예방질서과는 1일 공연법 위반 혐의로 20대에서 30대에 이르는 남녀 7명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티켓을 대량으로 확보한 뒤, 중고 거래 사이트 등을 통해 고가에 되팔아 부당한 이익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매크로 프로그램이란, 소비자들이 수만에서 수십만 번의 대기 순번을 기다리지 않고 1~2분 이내에 다수의 티켓을 확보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다. 자주 사용하는 여러 개의 명령어를 묶어서 하나의 키 입력 동작으로 만든 것으로, 반복되는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어 표를 대량으로 구매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가수 나훈아, 임영웅의 콘서트 및 뮤지컬 ‘드라큘라’, ‘그레이트 코맷’ 등의 티켓을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대량 구매한 후 이를 재판매했다.  

앞서 서울 KSPO돔(옛 체조경기장)에서 지난해 열린 임영웅 공연 플로어석은 인터넷에서 암표로 550만 원에 올라왔다. 이 티켓의 정가는 16만 5000원으로 정가의 33배에 이르는 가격이다. 가수 나훈아 공연 역시 90만 원에 올라와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번 사건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피의자 중 한 명인 20대 여성 A씨가 무직 상태에서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331장의 티켓을 구매해 약 1억원에 달하는 수익을 올렸다는 점이다. 

서울경찰청이 단속한 불법 암표 판매 사례들. photo 서울경찰청 제공
서울경찰청이 단속한 불법 암표 판매 사례들. photo 서울경찰청 제공

A씨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타인에게 판매한 혐의까지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추가적인 이익을 얻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 다른 피의자 20대 남성 B씨는 매크로로 임영웅 콘서트 티켓 15장을 확보해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 1338만원의 이익을 거뒀고, 군 복무 중인 20대 남성도 같은 방식으로 543만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18만7000원짜리 임영웅 콘서트 53만 원에 팔았다. 심지어 7만7000원에 판매된 배우 변우석 팬미팅 입장권은 235만 원에 판매하는 등 30배나 높은 가격에 되판 걸로 나타났다.

이에 경찰은 암표 문제를 근절하기 위해 주요 공연장과 티켓 예매처, 스포츠계 및 연예기획사 등과 합동 대응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 3월 개정된 공연법에 따르면, 매크로를 이용해 티켓을 부정 구매 및 판매할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검거된 피의자들에게 공연법 외에도 형법상 업무방해 및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 적용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