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국회 국방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한 여성이 무릎을 꿇었다. 이날 참고인으로 출석한 북한의 대남방송 소음 피해 주민으로 “방송 소음으로 인해 저희 일상은 무너졌다”고 말했다. 북한의 대남방송 소음 피해를 겪는 접경지역 주민들이 국회에 출석해 정부에 해결책을 호소한 것이다.
북한은 우리 측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자 대남 확성기로 응수하고 있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동물 울음 소리, 쇠 긁는 소리, 귀신 우는 소리 등을 송출하고 있다. 인천 강화군에 거주한다는 이 여성은 본인을 초등학교 1학년 딸, 3학년 아들을 키우는 엄마라고 소개했다.
그는 “딸아이는 잠을 못 자고 힘들어해 입에 구내염이 생겼고, 아들은 새벽 3~4시까지도 잠을 못 자는 상황인데 아무것도 해 주시지 않더라”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이 여성은 감사장에 출석한 국방부 차관 등 정부 인사들을 향해 무릎을 꿇으며 호소를 이어갔다. 그는 “여기 계신 국방위원장님이나 손자, 자녀들이 방송 때문에 ‘힘들다’고 하면 어떻게 얘기하겠는가”라고 토로했다.
또다른 주민은 60년 동안 강화도에서 거주했다고 한다. 그는 “최근엔 새벽 3~4시에도 대남방송이 이뤄진다”며 “이전에도 대남방송이 없었던 건 아니지만 북한이 ‘평양 무인기 침투’를 주장하고 나서부터는 방송 소음이 3배는 더 커졌다”고 했다. 또 “김포, 연천, 파주는 위험 지역구에 선정됐는데 강화는 빠졌다”며 “집에서 이북까지 1.8km인데 왜 위험지구에서 우리 마을이 빠졌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이같은 주장은 최근 경기도가 탈북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두고 김포, 파주, 연천 등에서 11곳의 접경지역을 ‘위험구역’으로 지정해 해당 지역에 대한 대북전단 살포자의 출입을 금지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강화군은 인천광역시 관내에 있어 경기도는 권한이 없지만, 위험구역은 그 설정이 재난안전법에 근거해 있어 정부기관이 의지를 가지면 할 수 있는 일이다.
이에 대해 김선호 국방부 차관은 “소음 전문가를 현장에 보내는 것을 검토하고 현장에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안을 찾고 조치하겠다”고 답했다. 인천의 강화 지역이 피해지역 포함 여부에 관해서도 “검토해 조치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납북자가족단체는 다음주 중으로 경기 파주시에서 대북전단을 공개 살포하겠다고 밝혔다. ‘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는 이날 오후 2시 수원시 구 경기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북전단 10만 장을 제작 완료했다”며 “파주에서 10만장을 모두 날릴 것”이라고 전했다.
최성룡 연합회 대표는 “납북자 문제를 알릴 기회가 또 없다”며 “두 번이든, 세 번이 됐든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평양 시내에 떨어지게끔 할 것”이라고 했다. 경기도 등 유관기관은 이를 현장에서 제지할 계획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