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S가 광복절에 일본 국가인 기미가요가 등장하는 오페라 '나비부인'을 방영한 것과 관련해 "일제 찬양이나 미화의 의도가 없었다"며 사과했다. 하지만 시청자들은 ‘황당한 해명’이라는 반응이다.
KBS는 지난 27일 시청자 청원 게시판에 "79주년 광복절인 지난 8월 15일 일본 기미가요 선율이 일부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을 방송함으로써 시청자 여러분께 불편함과 걱정을 끼친 점에 다시 한번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앞서 KBS는 광복절인 이달 15일 녹화 공연을 방송하는 1TV 'KBS 중계석'에 기미가요와 일본 전통 복식인 기모노가 등장하는 오페라 '나비부인'을 편성해 논란이 일었다.
KBS는 "이 오페라는 일본에 주둔한 미국인 장교의 현지처가 된 게이샤가 자식을 빼앗기고 목숨을 끊는 비극적인 내용인데, 이런 내용의 오페라를 방영한 것이 일제를 찬양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 "기미가요의 선율은 남녀 주인공 결혼식 장면에서 남자배우의 독백 대사에 반주로 9초 사용됐고, 이후 6초 동안 두 마디 선율이 변주돼 나온다"며 "전문가는 푸치니가 기미가요 원곡을 서양식 화성으로 편곡해 썼기 때문에 일반 관객이 대체로 인지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반박했다.
방영 시기에 대해선 "당초 광복절에 편성하지 않았는데, 2024 파리 올림픽 중계 방송으로 두 차례 결방되면서 당초 계획보다 2주 뒤인 8월 15일 0시에 방송하게 된 것"이라며 "예기치 않게 광복절에 방송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시청자의 반응은 싸늘했다. 한 시청자는 ‘'기미가요' 해명 맞으시죠?"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며 “몇 개월 전부터 편성을 준비 하셨다면 그것까지 다 검토 하시고 하셔야 하는거 아니냐”고 비판했다. ‘일반인은 기미가요도 모른다? 국민을 개돼지로 아느냐’는 비판도 있다. 또 ‘사장이 사과한거 맞나? 건국도 부정하는 사장 사퇴하라’, ‘등 박민 KBS 사장을 비판하는 글도 올라왔다.
온라인커뮤니티에서도 ‘사과하는 게 아닌 것 같은데’, ‘황당한 사과다’, ‘KBS 역사관 잘 알겠고요’ 등 비판 반응도 여럿 드러났다.
논란이 이는 가운데 2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회의에 참석한 박 사장은 야권의 질타에 "이유가 어쨌든 작품의 성격이 어쨌든, 광복절 새벽에 기미가요가 연주된 또 기모노를 넣은 여성이 등장하는 그런 오페라는 편성한 것은 불찰이라고 생각한다"고 고개 숙였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딸 돌아올 수만 있다면 지옥도"…'포르쉐 음주 사망사고'에 유족 오열
- 배드민턴협회장 “안세영과 갈등은 임원들이 내 눈과 귀를 가린 탓”
- 수영장서 발달장애 7세 아동 머리 물속 수차례 밀어넣은 기막힌 이유
- 文 “김정은에게 핵은 방어용” vs 펜스 “재래식 대포 있는데 왜? 공격용 가능성”
- 이재명 ’文 민주당 역사서 삭제’ 당원 댓글에 “분열은 패배의 원인”
- 박충권 "신유빈과 셀카, 北선수들 징역 최대 10년...최소 혁명화 2~3년"
- "PPT로 최후 진술"...JMS 정명석, 결심 또 연기
- KBS, 광복절 첫 방송으로 日 국가 부르는 오페라 송출
- "딥페이크? 호들갑 떤다"...사이버렉카 韓 유튜버에 외국 누리꾼도 비난
- 당신의 사진이 위험하다...전국 곳곳서 딥페이크 피해자 속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