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율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에게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이 '발언 자제', '비공개로 의견 개진'을 요구한 것에 대해 "웃기는 소리"라고 받아쳤다.
김 전 위원은 지난 10일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 승부'에서 "과거의 발언들을 두고 소위 말하는 친윤들의 반응에 대해 솔직히 말하면 웃기다"고 말했다.
그는 "한 대표는 명실상부 당의 최고 인사인데, 비공개로 (말)하라고 한다"며 "'내부 총질 하지 마라' 하는데, 내부 총질 안 하면 외부 총질이 오는데 어떻게 견디려고(하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한동훈 대표가 비공개로 여러 방식으로 이야기하지 않았었을까"라며 "비공개로 김건희 여사 문제를 제기해도 그다음 날 안 보였다(효과가 없었다), 그래서 공개적으로 문제 제기하는데 '말하지 마라' '비공개로 해라' 이건 웃기는 것, 이게 무슨 정당이냐"고 혀를 찼다.
앞서 친한(친한동훈)계를 중심으로 김건희 여사의 공개활동 자제를 요구가 나왔다. 한 대표 역시 "김건희 여사의 공개 활동 자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한다"고 하자 권성동 의원은 "공개적인 자리에서 얘기할 필요가 있었냐"며 불편함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한 대표가)윤설열 대통령과 독대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얘기하는 것이 좋았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윤상현 의원은 한 대표가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국민이 납득할만한 결과를 내놔야 한다"고 말한 것을 두고 "법과 원칙에 맞는 수사 대신 여론재판을 열자는 것이냐"고 비판한 바 있다.
이를 두고 김 전 위원은 "윤상현 의원이 당대표 선거에 출마할 때 '당은 어떠한 변화의 몸부림도 없이 공동묘지의 평화 속에서 사실상 죽어있다'고 말했다"며 "제가 비대위원 하면서 국민의힘 내부 관계자로부터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 '말 좀 하지마라'였는데, 비대위원으로 왔는데 그럼 뭘 하라는 건지(모르겠다)"라고 반문했다.
김 전 위원은 또 "김 여사 문제는 지난 대선 직전은 말할 것도 없고 (윤 대통령이)출마를 고민할 때부터 주변에서 나왔던 얘기"라며 "벌써 3년이 넘었는데 이제 와서 사과로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저도 비대위원 시절, 사과와 더불어 제2부속실 설치 등을 얘기했는데, 한다 한다 말하고도 지금까지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면서 "김 여사 사과와 몇 가지 약속한 걸(이행하는 걸)로는 국민들이 반응할 여지가 없다"고 주장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명태균, 홍준표·김재원·윤한홍 동시 저격... 폭로전 계속되나
- 김영선 "오세훈, 명세균과 짝짜꿍", 吳 "관계 이어가지 않아"
- 한동훈 "김여사 활동자제, 대선에서 한 약속만 지키면 돼"
- 권성동 "韓 '김건희 활동 자제' 요구, 왜 공개자리서 얘기?"
- 윤석열 대통령·한동훈 대표 독대한다
- 홍준표 "명태균, 유독 홍 대표만 나를 인정 안 한다고 투덜"
- 한동훈, 김건희 여사 공개활동 자제 요구
- 경찰청장 "문다혜 신변보호 위해 조사장소 변경 가능"
- 北 "남한 무인기 평양 침투" 주장... 기관지 통해서도 보도
- 韓 "명태균·김대남에 약점잡힌 구태정치" 누구 겨냥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