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의 회동에서 2025년 의대증원 백지화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두 사람은 이 회동에서 의대 정원 증원 문제로 촉발된 의료 공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구성되는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를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26일 서울 모처에서 만나 1시간 30분 가량 비공개로 회동했다. 비공개 회동에는 박주민 민주당 의료대란대책특위 위원장과 강청희 당 보건의료특위 위원장도 배석했다. 회동 후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박 비대위원장은 '2025년 의대정원 증원 백지화'라는 기존의 입장에 변화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고 서면브리핑을 통해밝혔다.
이 대표 역시 2025년 의대 정원과 관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논의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조 수석대변인은 전했다. 이 대표는 의료 공백으로 인한 국민 불편이 이어지는 만큼 정부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도 촉구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두 사람은 앞으로도 의료대란 해법을 마련하기 위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뜻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회동이 끝난 뒤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재명 당 대표와 현 사태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의료 문제 전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고, 더불어민주당과 앞으로도 종종 소통할 예정"이라고 남겼다.
그러면서 "전공의 처우 개선과 업무 개시 명령 폐지 등 사직한 전공의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얼마나 단호한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문제가 벌어질지 전했다"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또 "내년 봄에도 전공의들과 학생들은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며 "(증원 이후 학생) 7천500명 교육은 불가능하다. 2025년 증원부터 철회해야 한다"고 적었다. 앞서 박 비대위원장은 지난 23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여야의정 협의체를 통해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의문"이라며 협의체 참여에 부정적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한 바 있다.
이 대표가 박 비대위원장을 만난 것은 의료 공백 문제로 국민의 불편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협의체 출범의 구성원으로서 책임 있는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가 최근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의 물꼬를 텄으나, 의료계의 추가적인 참여 움직임은 나오지 않고 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노인 정신건강이 위험하다, 미묘한 불안 징후는 무엇?
- 유승민 "尹, 선공후처 못하면 남편만 해야"
- 홍준표 "한동훈, 야당에 한 마디 안 하고 분란만 일으켜"
- 국가가 전광훈 목사에게 3000만원 배상... 무슨 일?
- 이스라엘, 이란 수도 테헤란에 보복 공습
- 故 박정희 추모식 참석했다 욕설들은 한동훈
- 인천공항 '특혜논란' 연예인 전용 출입구 전면 백지화
- 한동훈 "尹에게 반대, 맞는 길이자 모두가 사는 길"
- 연인 살해 김레아, 과거 동종 범죄 어떻게 처벌 면했나 보니
- 민주당 "한동훈 특별감찰관 추진은 김건희 특검 훼방"
- 한 발 물러선 교육부, 의대생 '조건없는 휴학' 승인 검토
- '막말' 임현택 회장 탄핵?...의협, 비대위 설치 투표 재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