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페이크 성범죄 확산 우려와 관련해 "위협이 과대평가 되고 있다"고 했던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정부의 수사 방침을 두고 "이런 식으로 간다면 대책은 텔레그램 차단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2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텔레그램을 차단할지 말지만 결정하면 되는 것인데 정치인들이 입발린 소리로 '검열 강화'(를 말한다)"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텔레그램을 검열할 권한이 없기도 하지만 검열을 한다는 것은 전수조사를 한다는 것"이라며 "텔레그램 상에 오가는 메시지 등 사람이든 서버든지 모두 들여다봐야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검열을 과하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미 지난번 N번방 사태가 터졌을 때도 매개가 텔레그램이었다. 그때도 텔레그램 때려잡겠다고 나섰는데 수사 협조가 안 되고 방법이 없으니까 결국 카카오톡과 커뮤니티 사이트에 전수조사 검열이 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학폭 문제는 몇 십 년 동안 달려들어도 항상 있었다. 학폭을 없애는 가장 쉬운 방법이 무엇인가. 학교를 없애는 것이다. 그러면 확실히 없어진다"면서 "그런데 이런 식으로 접근하면 해법 같지만 아닌 해법들이 나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텔레그램이 문제가 된다고 하면 다른 메시지로 이전을 할 것이고 그러면 결국에는 모두 차단해 버려야 되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텔레그램 전 세계 이용자 수가 9억 명이고 한국인은 300만 명 정도 된다고 한다. 문제의 방에 22만 명이 있었다고 하니 700명 정도로 간단한 추산치를 얘기한 것이다. 22만 명은 확실히 아니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발언한 것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앞서 이 의원은 지난달 28일에도 딥페이크 성범죄 대책과 관련해 "딥페이크 위협이 과대평가되고 있다" "텔레그램 차단 외에 현실적인 방법이 있나. 과잉 규제로 결론이 날까 봐 (우려된다)"고 피력한 바 있다.
이 의원은 또 "중학교 3학년이 사이트를 만들어 피해 학교를 수집했다고 하는데 애들이 장난을 치려고 '김해 봉하고등학교' 넣어놓고 '피해자 500명' 이렇게 한다. 노무현 전 대통령으로 장난치는 사람들이 매번 그런다. '봉하고'라는 것은 없다. 이런 것을 보면 어떤 위협이든지 실제를 평가해야 답이 나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범죄 온상' 텔레그렘 창업자, 출국금지였지만 보석석방…마크롱 친분 덕?
- 이준석 "한동훈 머릿속이 복잡한 이유는....."
- BBC “한국, 비상사태 직면”...외신도 주목한 '딥페이크 범죄'
- 당신의 사진이 위험하다...전국 곳곳서 딥페이크 피해자 속출
- 박지현 “딥페이크 사태 국가 재난 선포해야” vs 허은아 “젠더 팔이 그만할 때 됐다”
- 이준석 “딥페이크 텔레그램방 한국인 이용자 22만 아닌 726명…과잉 규제 우려”
- 경찰 "딥페이크 피의자 24명 특정"...경기남부서만 미성년 피해자 74%
- "어차피 못잡아"...'딥페이크 수사' 공유 카페 운영자 알고보니
- '딥페이크 온상' 텔레그램 이용자 8월에 31만명 ‘급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