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페이크 성 착취물 유포의 온상이 된 메신저 텔레그램의 국내 이용자가 지난달에만 만 31만 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역대 최대 규모로 급증한 셈인데 이 가운데 3분의 1인 약 10만 명이 10대 이하인 것으로 드러났다.
5일 앱 분석 서비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텔레그램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347만1421명으로 전월 대비 31만1130명 증가했다. 2021년 3월 집계가 시작된 이후 최대 규모다.
연령별로는 10대 이하 활성 이용자가 7월 41만1754에서 8월 51만134으로 9만9980명 급증하면서 전체 증가 폭의 32.1%를 차지했다. 즉 한 달 사이 10만 명가량 불어난 셈이다. 50대 증가 폭인 2만8421명보다 3.5배 높으며 60대 이상 증가 폭 4291명과 비교하면 23배를 웃돈다.
최근 특정 인물의 얼굴 등을 영상에 합성한 딥페이크 논란이 이는가운데 호기심에 텔레그램에 접속한 10대가 급증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다만 국내에서 접속할 수 있는 앱스토어에서 텔레그램 앱의 연령 등급은 12세 이상으로 돼 있다.
정부당국의 단속에도 딥페이크 성 착취물 유포가 지속될 가능성에 대한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여성 텔레그램 이용자도 늘어나며 새로운 피해자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달 텔레그램 10대 이하 이용자 중 여성은 15만9208명으로 전월보다 4만2210명 급증했다. 또 20대 여성은 28만5897명으로 전월 대비 2만1594명 증가했다.
국내에서 딥페이크 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 총 포함해 10대 비중이 크다. 경찰청에 따르면 집중단속이 이뤄진 지난달 26∼30일 딥페이크 범죄 신고는 총 118건 접수됐는데 특정된 피의자 33명 중 31명, 검거된 7명 중 6명이 10대로 파악됐다.
또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 딥페이크 피해 지원을 요청한 781명 가운데 36.9%(288명)는 10대 이하였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경찰, 허경영 '하늘궁' 대규모 압수수색... 혐의보니
- 포르쉐 음주 사망사고 가해자 "아끼던 차량 파손돼 속상"
- 15층서 킥보드 던진 초등생들...사람 죽었어도 처벌불가
- "어차피 못잡아"...'딥페이크 수사' 공유 카페 운영자 알고보니
- 경찰 "딥페이크 피의자 24명 특정"...경기남부서만 미성년 피해자 74%
- 이준석 "정부 '딥페이크 수사? 이런식이면 대책 텔레그램 차단밖에 없어"
- '범죄 온상' 텔레그렘 창업자, 출국금지였지만 보석석방…마크롱 친분 덕?
- 또래 학생 '딥페이크' 제작한 중2 성범죄자, 검찰 송치 직전 해외 출국
- 당신의 사진이 위험하다...전국 곳곳서 딥페이크 피해자 속출
- '착륙 전 비행기 비상문 개방' 30대男에 대한 법원 판결은?
- 한동훈, 용산에 의대증원 유예 재요청... 당정갈등 격화
- "거기에 침 좀" 담배 대리구매 여중생에게 30대 男 황당 요구
- 동창에 딥페이크 범죄 고3…가해자 父 "수능 봐야해"
- 2000개 성매매 영상 찍어올린 '검은부엉이' 잡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