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이 23일 경남 평산 사저에서 김영진(왼쪽 두번째) 더불어민주당 前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의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photo 더불어민주당 제공
문재인 전 대통령이 23일 경남 양산 사저에서 김영진(왼쪽 두번째) 더불어민주당 前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의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photo 더불어민주당 제공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자신과 가족을 향한 검찰 수사에 대해 강한 비판을 제기하며 “검찰이 민생과 국민의 아픔을 돌봐야 할 기관인데도 무도하고 불법적인 정치 검찰의 행태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 23일 더불어민주당 ‘전 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 소속 김영진 위원장과 김영배 간사 등은 경남 양산 평산마을에서 문 전 대통령을 만나 1시간가량 면담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김영진 위원장은 면담 후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문 전 대통령은 검찰이 전직 대통령조차 이렇다면, 일반 국민들은 얼마나 더 힘들겠느냐며 검찰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왼쪽부터 문재인 전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前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의원들. photo 뉴시스 및 더불어민주당 제공 / 편집 주간조선
왼쪽부터 문재인 전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前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의원들. photo 뉴시스 및 더불어민주당 제공 / 편집 주간조선

문 전 대통령은 특히 자신의 가족에 대한 무작위 계좌 추적과 별건 수사 등 무리한 압수수색에 대해 “검찰의 수사 방식이 마구잡이로 진행되고 있다”며 깊은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문 전 대통령은 이런 상황이 검찰 개혁이 미완성인 상태에서 발생한 일이라며 개혁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검찰의 가족 및 친지들에 대한 전방위적 수사를 두고도 “검찰이 전 국민에게까지 어느 정도까지 과도한 권력을 휘두를 것인지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책위는 문 전 대통령과의 논의에서 검찰의 과도한 압수수색과 정치적 탄압 의혹을 철저히 조사하고,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한 입법을 적극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김영배 간사는 “최근 법원이 정치검찰의 압수수색 영장을 견제하지 못하는 점도 함께 우려하고 있다”며 “검찰권 남용 방지를 위한 법적 장치 마련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책위는 27일 검찰을 직접 항의 방문할 예정이다. 이번 국정감사에서도 피의사실 공표에 대한 대검찰청 감찰을 요구할 계획이다. 대책위는 “검찰의 무리한 수사와 정치적 탄압에 대해 당 차원에서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며 입법 활동을 통해 검찰 개혁을 가속하겠다고 밝혔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