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반 무대에 펼쳐진 브레겐츠 페스티벌 오페라 ‘카르멘’. 공연이 끝나고 출연자들이 관객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초현실적인 거대한 형상과 서커스 같은 스펙터클로 무대 전환 없이도 두 시간 넘는 공연을 힘차게 끌어간다.
호반 무대에 펼쳐진 브레겐츠 페스티벌 오페라 ‘카르멘’. 공연이 끝나고 출연자들이 관객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초현실적인 거대한 형상과 서커스 같은 스펙터클로 무대 전환 없이도 두 시간 넘는 공연을 힘차게 끌어간다.

알프스산맥 남쪽 기슭, 평균 해발고도 395m의 깊은 산속에 보덴호(Bodensee)가 있다. 길이 63㎞, 폭 14㎞, 유럽에서 세 번째로 큰 이 호수의 남동쪽 끝, 수심이 가장 얕고 잔잔한 쪽에 오스트리아의 작은 산골 마을 브레겐츠가 자리 잡았다. 독일·스위스와 국경을 마주한 인구 3만여명의 자그마한 이 산속 호반도시를 찾아간 것은 7~8월 한 달 동안 열리는 오페라 페스티벌을 보기 위해서였다.

뮌헨에서 서쪽으로 192㎞. 양쪽으로 너른 옥수수밭이 펼쳐진 96번 아우토반을 1시간 반쯤 달려 브레겐츠에 도착했다. 페스티벌 깃발을 따라가니 카지노와 페스티벌 극장이 나란히 방문객을 반긴다. 공연은 저녁 9시15분 시작하는데, 6시가 넘자 수많은 사람들이 극장 주변 카페와 간이식당을 꽉 채운다. 부슬부슬 비가 내리는 가운데 와인과 맥주와 커피를 들고 공연을 기다리는 표정이 밝다. 올해 공연작은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 호반에 무대를 설치한 축제 극장에 들어서니 거대한 두 손이 카드를 펼쳐든 거대한 무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카르멘을 상징하는 두 손은 붉은 매니큐어가 벗겨져 있다. 퇴락한 여성, 불운한 운명의 꼬임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입장권을 뒤늦게 구입한 바람에 무대 왼쪽 앞에서 다섯째 줄 좌석을 받았는데, 생각보다 좋다. 무대 자락에 출렁이는 물결이 손에 잡힐 듯하다. “아름다운 석양, 밤하늘의 별빛”을 자랑하지만, 내가 간 날은 안타깝게도 공연 직전까지 부슬비가 내렸다. 호수 건너편 독일 땅 린다우에서 온 마지막 배가 관객을 부려놓자 드디어 공연이 시작되었다.

브레겐츠 오페라 축제는 대담하고 혁신적이다. 오페라 공연이 ‘당연하게’ 요구하는 관습을 다 깼다. 첫째, 가수들과 오케스트라 연주가 모두 마이크를 쓴다. 비엔나 심포니가 페스티벌 상주 오케스트라로, 잔향(殘響)을 최소화한 뛰어난 기술을 통해 최상의 예술을 실현하고 있다. 둘째, 무대 전환이 없다. 서곡부터 막이 내리기까지 모두 한 무대를 쓴다. 마지막으로, 서커스를 방불케 하는 강렬한 스턴트가 공연 내내 등장하여 스펙터클을 선사한다. 이 세 가지 특성은 호수 위 야외 공연이라는 한계에서 비롯되었지만, 브레겐츠 호반 무대의 오페라들은 초현실적 무대장치와 역동적인 연출을 통해 오페라를 당대의 ‘대중예술’로 새롭게 만들어냈다.

관객들을 가장 매혹시키는 것은 시각적 스펙터클이다. 호수 위 무대에서는 무대장치의 변환이 어렵다. 그래서 거대하고 과장된 디자인을 내세워 시선을 붙잡는다. 영화 007시리즈 중 ‘퀀텀 오브 솔라스’에 등장한 것이 바로 이 브레겐츠 페스티벌 중 ‘토스카’ 공연이었다. 커다란 눈동자만으로 무대를 장악했다. 올해 ‘카르멘’ 무대 높이는 24m. 카드 한 장의 높이가 7m다. 바닥에도 28개가 흩뿌려져 있다. 두 손을 합친 무게는 40t이 넘는다. 카드는 영상을 담은 스크린으로 공연 내내 다채롭게 활용되었다.

브레겐츠 호수극장 안뜰에 펼쳐진 간이카페는 공연이 끝난 뒤 밤늦도록 와인잔을 기울이는 관객들로 축제의 흥분이 이어진다.
브레겐츠 호수극장 안뜰에 펼쳐진 간이카페는 공연이 끝난 뒤 밤늦도록 와인잔을 기울이는 관객들로 축제의 흥분이 이어진다.

밤 11시30분. 공연이 끝났다. 비운의 카르멘과 돈 호세가 호수 물에 발을 적신 채 관객들에게 인사를 건네고, 흥분이 가시지 않은 관객들은 기립 박수로 응답했다. 관객을 태우고 온 대형 버스들이 줄지어 주차장을 떠났다. 독일 번호판이 가장 많지만 폴란드 번호판, 네덜란드 번호판도 눈에 띄었다. 본래 브레겐츠는 독일 사람들이 많이 찾는 조그만 호숫가 휴양지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6년 (지난 번 소개했던 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벌과 영국 에든버러 국제페스티벌과 마찬가지로)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위로하기 위한 호반 무대 음악회로 시작했다. 처음에는 바지선 두 대를 띄우고 모차르트를 연주하는 소박한 수준이었지만, 1990년대 들어 콘크리트 구조물로 무대를 만들어 대형 오페라 작품을 2년간 공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무대의 가로 폭은 30m가 넘고, 부채꼴로 설치된 객석은 7000석.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이 2300석이니, 3배가 넘는 규모다. 그런데 이 좌석이 매진이다. 30회 이상 공연하니 20만명 넘게 오는 셈이다. 홀수 해에 새 작품을 올려 이듬해까지 같은 레퍼토리를 공연한다.

최근에는 호반 무대뿐 아니라 시내 페스티벌 극장의 실내 오페라 공연도 함께 이어진다. 올해는 로시니의 ‘이집트의 모세’를 공연했다. 오페라 관람료는 일반 좌석 기준 최고 130유로에서 최저 70유로로 오페라 페스티벌 중에는 저렴한 편이다. 2018년 일정은 7월 18일부터 8월 19일까지. 홈페이지(https://bregenzerfestspiele.com/en)에서 예매할 수 있다.

음악도시 잘츠부르크는 해마다 7~8월이면 잘츠부르크 페스티벌로 뜨거운 열기를 뿜는다. 지난 여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을 찾았을 때 가장 먼저 들른 곳은 미라벨공원.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에서 마리아와 폰 트랩 대령의 일곱 남매가 커튼 뜯어 만든 옷을 입고 ‘도레미송’을 부르며 뛰어다니던 곳이다. 미라벨공원 바로 옆 모차르테움 음악원의 크고작은 극장에서는 오전부터 음악회가 열리고 있었다.

올해 페스티벌은 7월 21일부터 8월 30일까지 대축제극장(Groβes Festspielhaus), 모차르트 하우스(Haus f r Mozart), ‘사운드 오브 뮤직’에서 폰 트랩 대령 가족이 달아나기 전 마지막으로 공연했던 암벽 극장 펠젠라이트슐레(Felsenreitschule) 등에서 진행되었다. 모차르트작 ‘티토 황제의 자비’와 쇼스타코비치의 ‘므젠스크의 맥베스 부인’, 베르디의 ‘아이다’, 알반 베르그의 ‘보체크’ 등 오페라 10편과 모차르트 음악회, 연극 공연 등 6주간 수백 개의 무대가 펼쳐졌다.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의 간판은 세계 최상급 오케스트라로 꼽히는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다. 이들은 휴양과 관광도시인 잘츠부르크의 여름을 ‘클래식 음악의 낙원’으로 만든다. 여기에 더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주자와 성악가들 역시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의 꽃이다. 지난 여름 ‘아이다’의 주역으로는 현재 세계 최고의 인기 소프라노로 불리는 안나 네트렙코가 등장했다.

<b></div>01</b> 언약의 열쇠가 가득 걸린 잘츠부르크의 잘자흐강 다리.<br><b>02, 03</b> 산꼭대기 호엔잘츠부르크성의 위용이 뒤쪽으로 보인다. 밤의 축제 극장 앞과 야외상영장은 관객으로 가득하다.<br><b>04</b> 한낮의 광장은 저마다 개성 있게 분장한 거리의 배우들이 볼거리를 제공한다.
01 언약의 열쇠가 가득 걸린 잘츠부르크의 잘자흐강 다리.
02, 03 산꼭대기 호엔잘츠부르크성의 위용이 뒤쪽으로 보인다. 밤의 축제 극장 앞과 야외상영장은 관객으로 가득하다.
04 한낮의 광장은 저마다 개성 있게 분장한 거리의 배우들이 볼거리를 제공한다.

연주 수준이 높은 만큼 관람료도 만만치 않다. 대축제 극장에서 공연한 ‘아이다’ ‘므젠스크의 맥베스 부인’은 최고 450유로에서 최저 30유로. 웬만큼 시야가 좋은 자리는 270~340유로(평일 기준). 그러나 낙심할 필요는 없다. 비싼 입장료를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스크린 중계가 있다. 잘츠부르크성 바로 아래 잘츠부르크대학과 대학 교회 근방의 광장에 대형 스크린을 걸고 주요 공연을 현장 중계하는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음악회는 이보다 훨씬 부담이 작다. 대학교회, 유니버시티홀 등에서 아침, 오후, 저녁에 열리는 음악회는 입장료가 20~40유로 안팎이다.

잘츠부르크는 오페라와 음악회만을 목적으로 가기에는 너무나 ‘볼 것’이 많은 관광지다. 미라벨공원에서 모차르트하우스를 거쳐 잘자흐강을 건너가는 다리에는 서울 남산타워에서 본 ‘약속의 자물쇠’가 마치 설치미술처럼 다리 난간을 가득 메우고 있다. 골목마다 가득 찬 관광객들에 떠밀려 가다 보면 산꼭대기 요새인 호엔잘츠부르크성에 이르는 광장이 나온다. 1077년 지은 호엔잘츠부르크성에서도 음악가들의 국제 여름 아카데미와 요새 음악회가 열린다. 성은 입장료가 없지만 성에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케이블카 탑승권을 사야 한다.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은 이처럼 낮에는 광장과 공원, 골목에서 놀다가 저녁에는 공연을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이 크다. 최근 한국을 방문한 힌터호이저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예술감독은 올여름 한국 관객이 3000명에 달했다고 밝히며 “페스티벌 100주년을 맞는 2020년에는 피아니스트 조성진과 소프라노 여지원을 초청하고 싶다”고 한국 시장에 구애했다.

2018년에는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마술피리’와 ‘살로메’ ‘스페이드의 여왕’ 등 오페라 8편과 음악회 200여개가 예정되어 있다.(http://www.salzburgerfestspiele.at)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은 브레겐츠 페스티벌이나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 비해 ‘귀족 축제’라고 불릴 정도로 상류층 중심의 관습적인 색채가 강하다. 역사와 출발점도 다르다. 앞의 두 페스티벌이 2차 대전과 1차 대전의 참화를 딛고, 시민들의 정신적 상처를 달래기 위한 노력으로 시작된 데 비해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은 1875년 궁정음악감독 카를 폰 페어팔이 귀족과 상류층의 여름 시즌을 위해 기획했다.

뮌헨 국립오페라 극장 전면에 ‘LIVE’라는 대형 플래카드가 걸렸다. 귀족문화로 비판받는 오페라를 극장 앞 광장에서 영상으로 중계, 서민들과도 공유하겠다는 선언이다. 오페라극장에서 5분만 걸어나오면 펠트헤렌할레 앞에 여름 시즌 거리카페가 펼쳐진다.
뮌헨 국립오페라 극장 전면에 ‘LIVE’라는 대형 플래카드가 걸렸다. 귀족문화로 비판받는 오페라를 극장 앞 광장에서 영상으로 중계, 서민들과도 공유하겠다는 선언이다. 오페라극장에서 5분만 걸어나오면 펠트헤렌할레 앞에 여름 시즌 거리카페가 펼쳐진다.

페스티벌이 열리는 바이에른 국립오페라 극장은 바이에른 왕국의 궁전인 레지덴츠궁과 뮌헨의 최고급 쇼핑가 막시밀리안가에 면해 있다. 지난 여름 페스티벌 중 들른 이 극장은 관객들의 옷차림부터 달랐다. 남성들은 턱시도, 여성들은 어깨를 드러낸 드레스 차림이 많았다. 청바지에 티셔츠는 민망한 분위기. 그렇다고 어중간한 정장 차림으로는 멋쩍은 촌뜨기가 되어버린다. 오페라 중간 휴식 시간에는 극장 앞 계단과 거리가 와인 잔을 든 이 관객들로 꽉 차서 시끌시끌하다.

올해 페스티벌 공연작은 드보르자크의 ‘루살카’,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 ‘운명의 힘’,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바그너의 ‘탄호이저’, 도니제티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지오르다노의 ‘안드레아 쉐니에’ 등 오페라 16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스파르타쿠스’ 등 발레 3편과 페스티벌 실내악 연주회 등 음악회 5편이었다. 한 달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이렇게 여러 편의 오페라를 공연할 수 있는 것은, 이 페스티벌이 지난 겨울 시즌 공연작 중 인기 작품의 재공연 형식이기 때문이다. 관람료는 최고 400유로에서 중간급이라도 300유로를 웃돈다. 국립오페라극장이 너무 값비싼 공연을 한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고, 그 때문인지 최근에는 국립오페라극장 앞 막스조셉광장에서 스크린 상영도 일부 이뤄지고 있다.

어지간한 오페라 팬이 아니고는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을 보러 일부러 가는 일은 흔치 않겠지만, 이왕 뮌헨에 들른 길이라면 한번쯤 무리해 볼 만하다. 스펙터클을 강조한 무대와 극적인 연출 등 최근 오페라 흐름이 이곳서도 뚜렷하다.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나 파리 오페라, 베를린 오페라와는 또 다른, 매우 보수적이고 관습적인 남부 독일의 클래식 음악 문화, 혹은 귀족 문화의 잔재를 경험하는 재미도 크다. 관광으로도 꼭 빼놓지 말아야 할 곳이다. 바로 옆 레지덴츠궁과 인형시계로 유명한 신시청, 뮌헨 구도심의 중심인 오데온플라츠, 마리엔플라츠로 이어지는 뮌헨 여행의 핵심에 있다. 여름 시즌 오데온플라츠에 펼쳐지는 거리 카페에서 달콤 쌉싸름한 화이트 와인으로 피로를 달래는 여유는 덤이다.(https://www.staatsoper.de/en)

박선이 박선이 동서대 객원교수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