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유세에 나선 박근혜 위원장과 손을 맞잡은 김무성 의원. ⓒphoto 김용우 조선일보 기자
부산 유세에 나선 박근혜 위원장과 손을 맞잡은 김무성 의원. ⓒphoto 김용우 조선일보 기자

4·11 총선에서 단독 과반(152석)을 달성한 새누리당의 승리를 이끌어낸 주역 중 한 명으로 김무성(61) 의원을 꼽는 데 새누리당 내에선 별다른 이견이 없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 등 친노(親盧) 인사들이 영남권 공략을 위해 대거 출마한 부산·경남(PK) 지역에서 새누리당이 40개 선거구 중 36석을 달성한 데는 공천을 스스로 포기하고 선거 지원에 발벗고 나선 김 의원의 공이 컸다는 것이다.

당내에선 김 의원이 PK 지역뿐 아니라 전체 총선 판도를 바꾼 역할까지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는 지난 3월 12일 당 공천위가 자신의 공천 문제를 놓고 발표를 계속 미루는 등 공천 탈락 위기에 처하자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감행할 것이라는 당초 예상을 깨고 총선 불출마 및 당 잔류를 전격 선언했다. “우파 분열의 핵이 돼서는 안 된다”는 이유였다.

김 의원의 백의종군 선언으로 당초 부산에서 영향력이 큰 김 의원의 합류를 통해 제3 보수신당 창당에 불을 붙이려던 비박(非朴) 세력의 계획에는 제동이 걸렸다. 실제 공천에 대거 탈락한 친이(親李)계 의원들 중 상당수는 김 의원의 거취를 보고 탈당을 감행하려다 김 의원의 불출마 결정 이후 계획을 접었다.

김 의원의 불출마 결정은 현 정권 들어 벌어졌던 박근혜 비대위원장과의 관계를 복원시키는 효과도 가져왔다. 4선 중진인 그는 2007년 대선 때 친박 좌장 역할을 했으며, 2008년 총선 땐 공천받지 못하자 탈당해 무소속(부산 남구을)으로 당선된 뒤 당에 복귀했다. 이후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사이가 벌어지면서 비박(非朴)으로 분류됐다. 하지만 연말 대선을 앞두고 전면에 나서 이번 총선에 올인했던 박 위원장으로선 김 의원 덕에 보수 분열이란 최악의 상황을 피할 수 있었던 만큼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복원 단계에 들어선 것이다.

박 위원장은 실제 김 의원에게 여러 차례 중앙선대위 부위원장직을 제안했으나 김 의원은 “불출마 결정의 배경에 박 위원장과 모종의 거래를 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며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김 의원은 아무런 당직을 갖지 않은 채 부산·경남·울산 지역 후보들에 대한 지원 유세에 나서는 등 PK 지역 선거전을 진두지휘했다. 이런 김 의원에 대해 박 위원장은 지난 3월 28일 부산 방문 때 “부산 사나이다움을 보여주셨다”며 힘을 실어줬다.

이처럼 ‘박근혜-김무성’ 투톱 체제로 치러진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PK 지역 40개 선거구 중 36석을 차지했고, 이른바 문재인 고문을 앞세워 ‘낙동강 벨트’ 공략에 나선 민주통합당에는 문재인(부산 사상)·조경태(부산 사하을)·민홍철(경남 김해갑) 등 3석만 내줬다. 이 때문에 김 의원이 곧 새로 들어설 새누리당 지도부 구성에서 당 대표 등 중책을 맡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친박계 관계자는 “김 의원은 친박계 좌장 역할을 하며 지난 대선 경선을 치른 경험을 갖고 있고 원내대표를 지내는 등 국회 운영에도 밝아 연말 대선을 본격 준비해야 할 새 지도부를 이끌 적임자란 평가가 많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가 이번 총선에 불출마해 원외(院外)에 머물게 된 데다 영남권 출신이란 점이 당 대표를 맡는 데 부담이 될 것이란 이야기도 나온다. 친박 진영의 다른 관계자는 “박 위원장이 평소 원내정당을 강조해온 데다 이번 총선에서 나타났듯 수도권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수도권이나 충청권 출신 대표가 적합하다는 내부 의견도 만만치 않다”고 했다.

김 의원 자신은 “백의종군하겠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그는 평소 “우파의 재집권을 위해서라면 어떤 역할도 마다하지 않겠다”고 말해왔다.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김 의원이 당 대표에 도전하든 원외에서 박 위원장의 대선 준비를 돕든 연말 대선 정국에서 상당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경운 조선일보 정치부 기자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