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 28일은 문재인 대통령 퇴임 70일 전으로 다음 대통령을 뽑는 날을 정하는 기준일입니다. 우리 관련법은 대선일을 ‘대통령 퇴임일 70일 전 기준 그다음 주 수요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차기 대선일은 2월 28일의 다음 주 수요일인 내년 3월 2일입니다. 하지만 관련법은 ‘선거일이 공휴일이 있는 주에 있으면 그다음 주 수요일에 하게 된다’는 조항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 대선은 공휴일인 3월 1일 다음 날이 아니라 그다음 주 수요일인 3월 9일 치러지게 됩니다.

차기 대선이 불과 1년 앞으로 다가왔다는 사실에 새삼 놀라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태로 치러진 5월 ‘벚꽃 대선’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왜 3월에 대통령을 뽑느냐고 의아해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통령 탄핵과 같은 헌정 중단 사태가 다시 벌어지지 않는 한 앞으로 대통령은 3월에 계속 뽑을 수밖에 없습니다.

대선이 1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치권은 급속도로 대선 분위기에 빠져드는 모습입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벌어진 대선후보 경선일 변경 논란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본선 180일 전에 뽑게 돼 있는 대선후보를 120일 전에 뽑자는 주장은 이미 여당 내부에서 대선 레이스가 시작됐다는 신호탄이나 다름없습니다. 지지율이 앞서 나가는 이재명 경기지사 측으로서는 이 지사가 후보가 되는 것을 어떻게든 막아보려는 꼼수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겁니다. 룰을 바꿀 경우 ‘내전이 불가피하다’며 발끈하는 것도 이해가 갑니다.

‘캠프 하마평’도 다시 여의도를 달구기 시작했습니다. 누가 누구의 대선 캠프로 간다는 소문과 함께 여의도를 오가는 폴리페서들의 면면도 늘기 시작했습니다. 대선의 계절이 다시 왔다는 걸 무엇보다 실감케 합니다.

여야를 막론하고 현재 정치권의 가장 큰 대선 이슈는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는 이재명 경기지사가 결국 여당의 후보가 되느냐 여부입니다. 대통령 선거 역사를 되짚어 보면 대선 1년 전 지지율을 바라보는 시선에는 항상 낙관론과 비관론이 교차합니다. 비관론을 강조하는 쪽에서는 1년 전 지지율이 허망하게 무너진 사례를 자주 들먹입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2002년 대선의 이회창 후보입니다. 대선 1년 전 누구도 의심치 않던 견고했던 지지율이 노무현·정몽준 후보단일화 쇼 한 방으로 무너져내렸습니다.

대선 1년 전 지지율 1위를 ‘무덤’으로 비유하는 정치인도 있습니다. 1997년 대선에서 지지율 1위를 달리다가 결국 중도하차한 박찬종 전 의원은 과거 인터뷰에서 “여론조사 1위의 맹점은 유권자들이 쉽게 식상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대중에 영합하는 좀 더 참신한 후보에, 혹은 말실수와 같은 소소한 돌발변수에, 계보 내부의 권력투쟁에 여론이란 동물은 금방 돌아앉아 버린다”는 겁니다. 물론 대세론을 끝까지 유지하면서 청와대행에 성공한 2007년 이명박 후보의 사례를 강조하며 정반대의 낙관론을 펴는 경우도 있습니다.

변수가 즐비해 보이는 한국의 대선판에서 그래도 점차 굳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처럼 느닷없이 나타나는 주자는 이제 기대하기 힘들다는 겁니다. 결국 앞으로의 1년은 지금까지 드러난 차기주자들의 진짜 실력과 하자를 검증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검증의 시간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은 유권자들이 지난 대선보다 많아졌기를 기대합니다. 독자님들, 고맙습니다.

키워드

#마감을 하며
정장열 편집장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