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게티이미지코리아
photo 게티이미지코리아

국내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이 5명 중 1명꼴이며, 이들 상당수는 복부비만을 동반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대한비만학회가 최근 10년 동안(2012~2021년)의 소아·청소년 비만율 추이를 분석한 결과다.

대한비만학회가 6일 발표한 ‘2023 비만 팩트시트’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소아·청소년 비만율이 5명 중 1명꼴에 해당하는 19.3%로 집계됐다. 소아·청소년 비만이란 보통 유아기에서 사춘기에 이르는 나이대에서 체중이 신장별 표준체중보다 20% 이상 많이 나가거나, 같은 연령대에서 체질량지수(BMI)가 상위 5%인 경우를 말한다.

대한비만학회 분석 결과에 따르면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10년 동안 남아와 여아 모두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남아의 경우 2012년 10.4%에서 2021년 25.9%로, 여아는 2012년 8.8%에서 2021년 12.3%로 각각 2.5배, 1.4배 증가했다.

연령별 비만 유병률은 2021년 기준 10~12세(소아) 21.4%, 16~18세(청소년) 21.7%로 각각 집계됐다.

특히 비만한 소아·청소년들 상당수가 복부비만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의 복부비만 유병률은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했는데, 2021년 기준 17.3%였다. 남아는 2012년 대비 3.1배 증가한 22.3%, 여아는 2012년 대비 1.4배 증가한 12.1%의 유병률을 보였다.

대한비만학회는 이처럼 소아·청소년 비만율이 높아지는 이유로 탄산음료 등의 당 섭취 증가를 비롯해 야외 놀이의 감소, 불규칙한 수면시간, TV와 컴퓨터 등 미디어 시청 시간 증가 등을 꼽았다.

대한비만학회 언론홍보이사인 허양임 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국내 소아·청소년들의 비만 문제로 손실된 사회경제적 비용이 1조3천600억원에 달한다”며 “향후 비만율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소아청소년위원회 위원인 홍용희 순천향대 부천병원 교수는 “소아청소년기 비만은 성인기에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및 심뇌혈관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 우울증과 낮은 자존감 등의 정서적 문제를 일으킬 확률도 높아지기 때문에 반드시 조기에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