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photo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photo 뉴시스

"중국에 60% 이상의 초고율 관세를 매기겠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직접 중국을 향해 선전포고를 날렸다. 만약 11월 대선에서 재집권에 성공한다면 중국에 60% 이상의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직접 밝혔다. 2기 트럼프 행정부가 실현된다면 미·중 갈등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월 4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재집권 시 중국에 60%의 관세율을 일괄 적용할 것이냐는 질문을 받자 "아니다. 아마도 그 이상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 언론의 짐작을 뛰어넘는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에 성공할 경우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60% 일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는데,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보다 더한 세율을 적용하겠다는 뜻을 밝힌 셈이다. 현재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평균 12%의 관세율을 부과하고 있다.

과거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수지 불균형 등을 이유로 중국산 특정 제품에 대해서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이 정책은 조 바이든 행정부에도 그대로 이어져 고율 관세가 상당 부분 유지되고 있다.

동맹국에도 관세율 인상하겠다는 트럼프

이에 반발한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과 자동차 등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했고 미국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기도 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유지하고, 반도체 장비와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기술 관련 대중 수출통제 조치까지 시행하고 나섰다.

관세율 상향은 중국에만 해당되지 않는다. 트럼프 전 대통령 캠프는 재집권하게 되면 동맹국 등 다른 외국산 수입품에도 관세를 10%포인트 상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현재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율이 5%라면 15%로 올리겠다는 얘기다. 2기 트럼프 행정부가 등장할 경우 미·중 갈등이 커지는 걸 넘어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될 거라는 우려가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당선 가능성이 점점 커지는 상황에서 미국의 매파 기조가 점점 강해지고 있다는 신호"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전에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모든 종류의 자동차가 미국에서 만들어지기를 원하며, 중국과 다른 나라들에 관세 등의 수단을 동원해 미국 노동자와 함께 공장을 건설하라고 요구할 것”이라고 했다. 자국 내 자동차 공장 유치를 위한 수단으로 관세를 ‘무기화’하겠다는 것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