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파주 접경지역에 고정형 대북확성기로 추정되는 구조물이 설치돼 있다. photo
경기 파주 접경지역에 고정형 대북확성기로 추정되는 구조물이 설치돼 있다. photo

20대 북한군 병사가 강원도 고성까지 걸어서 귀순한 가운데 탈북 사유가 식량난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채널A'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일 새벽 강원도 고성군 인근 군사분계선(DMZ)을 넘어 비무장상태로 20대 북한군 하사가 귀순했다. 그는 경비대에 발각 위기를 수차례 넘기며 탈출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군인은 신병 확보차 현장에 출동한 우리 군 장병을 보자마자 자신의 이름과 소속, 계급 등을 밝히면서 “너무 살기 어려워 남으로 내려왔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귀순 하사는 북한군 초소에 몇 차례 적발됐는데, '탈영병을 잡으러 왔다'고 둘러대면서 의심을 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귀순 이유에 대해서는 식량난 등 북한 내 열악한 상황과 남한 문화의 동경 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해당 하사는 "북한 주민들이 현재 많이 굶어 죽고 있다"며 "그런 부분에서 심경 변화가 왔다"고 진술했다.

현역 북한 군인 탈북은 2019년 이후 처음이다. 이보다 앞서 지난 8일에는 북한 주민 한 명이 인천 강화군 교동도 북측 한강 하구 중립수역으로 ‘도보 귀순’한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북한군의 기강이 해이해졌음을 알 수 있는 대목" 이라고 진단했다. 정보 당국은 "그가 북한에 있을 때 소속 부대가 해체됐는데 재력과 인맥이 있는 동료들은 좋은 곳으로 발령 나고 자신은 좌천돼 북한 내 부당한 현실을 참을 수 없었다"는 취지의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최근 몇 년 동안 북한 정권은 남한으로의 탈북을 막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보안을 강화하고 국경에서 탈북자를 발견하는 즉시 사격 명령을 내리는 등 탈북을 막고 있지만 탈북자들이 계속해서 창의적인 탈출 방법을 찾고 있어 봉쇄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