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게티이미지코리아
photo 게티이미지코리아

거리두기 완화 이후 모임과 회식이 늘어나자 음주량도 덩달아 증가하는 추세다. 이와 관련 음주량이 늘어날수록 뇌경색 위험도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는 뇌졸중 분야 국제 학술지 '스트로크(STROKE)'지 최근호에 게재했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정수민 교수, 숭실대 통계학과 한경도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토대로 지난 2009년과 2011년 국가건강검진에 두 차례 모두 참여한 40세 이상 450만명을 대상으로 음주량의 변화에 따른 뇌경색 발생 위험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하루 음주량에 따라 비음주군, 저위험음주군(15g 미만), 중위험음주군(15-30g), 고위험음주군(30g 이상)으로 나누고, 다른 요인을 보정한 상황에서 음주량 변화가 뇌경색 발병에 미친 영향을 비교했다. 참고로 알코올 15g은 대개 시중 판매 상품을 기준으로 맥주 375ml 1캔 또는 소주 1잔 반에 해당하는 양이다.

그 결과, 저위험음주군이 음주량을 늘릴 때 뇌경색 발병 위험 상승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경우 저위험음주를 유지할 때와 비교했을 때 음주량이 늘어 중위험음주군이 되면 11%, 고위험음주군이면 28%까지 뇌경색 발병 위험이 높아졌다. 

반면, 고위험음주군이 술을 줄이면 뇌졸중 위험이 줄어들었다. 2013년 검진 자료까지 있는 사람 350여만명에 대해 추가 진행한 분석에서 고위험음주군이 저위험 음주군으로 절주를 하면 뇌경색 위험이 1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수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술의 종류와 상관없이 하루 3잔 이상 과음하면 뇌경색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 뇌졸중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 하루 1~2잔 이하로 절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준 연구"라고 설명했다.

신동욱 교수는 "소량의 음주도 뇌경색 외 다른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면서 "개인별 알코올 대사 능력도 차이가 있어 뇌졸중 예방을 위해서 술을 드시지 않던 분이 소량의 음주를 시작하는 것은 권장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뇌졸중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뇌의 혈관이 막혀 일어나는 뇌경색과 뇌의 혈관이 터져서 일어나는 뇌출혈이다. 뇌경색은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과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어 만약 발생하면 해당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한다. 특히 막힌 혈관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반신불수, 언어 장애, 시야 장애, 어지럼증, 의식 소실 등이 있다.

뇌경색의 주요 전조증상으로는 ▲반신마비 ▲반신 감각 이상 ▲안면 마비 ▲말이 어눌해지는 발음 장애 ▲말을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언어장애 ▲시야장애나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극심한 두통 ▲한쪽 팔다리에 힘 빠짐 등이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전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신고하거나 병원으로 이동하라고 당부했다. 특히 전조증상이 나타나고 뇌가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발병 후 3~6시간 안인 골든타임에 적절한 조치를 해야 뇌의 손상범위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