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photo 뉴시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photo 뉴시스

‘세계 경제 대통령’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결정에 올해 11월 미국 대선이 영향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올해 11월 미 대선을 앞두고 미국 워싱턴에서 파월의 입을 바라보는 것은 미 통화정책을 이끄는 그의 금리인하 여부 발표 시점이 승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재선을 시도하는 민주당 소속 조 바이든 대통령과 백악관 재입성을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공화당)의 2파전으로 대선이 치러질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연 5% 넘게 치솟은 기준금리를 연준이 빨리 내리면 내릴수록 시중 금리가 낮아져 가계 부담이 줄어든다. 이렇게 되면 현재 여론조사에서 트럼프에게 밀리고 있는 바이든에게 유리할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 입장에서는 대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늦을수록 유리하다. 

이러한 상황을 의식해서 인지 파월은 자국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는 결정을 내릴 때 정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며 “정치라는 요인을 고려한다면 경제적 결과는 더 나빠질 수 있다”고 말하며 대선과의 관계에 선을 그었다. 

미국에서는 이미 연중의 금리 인하는 시간문제라고 보고 있다. 2022년 6월 기준 9.1%에 달했던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이 지난해 6월 들어 3%대로 안정되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1년에 8번 열린다. 지난달 31일 5.25~5.50%인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3월 인하도 어렵다고 보고 있다. 물가 상승세와 고용 시장이 아직 식지 않은 것이 원인인데 일단 시장에서는 5월 이후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이럴 경우 민주당 입장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실제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일부 민주당원들은 연준이 높은 금리를 너무 오래 유지해 바이든 재선이 위태로워질까 봐 긴장하고 있다”고 했다. 반면에 트럼프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 등 민주당을 돕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내가 대통령이 되면 정치적인 그를 의장으로 다시 임명하지 않겠다”고 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