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경제 대통령’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결정에 올해 11월 미국 대선이 영향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올해 11월 미 대선을 앞두고 미국 워싱턴에서 파월의 입을 바라보는 것은 미 통화정책을 이끄는 그의 금리인하 여부 발표 시점이 승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재선을 시도하는 민주당 소속 조 바이든 대통령과 백악관 재입성을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공화당)의 2파전으로 대선이 치러질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연 5% 넘게 치솟은 기준금리를 연준이 빨리 내리면 내릴수록 시중 금리가 낮아져 가계 부담이 줄어든다. 이렇게 되면 현재 여론조사에서 트럼프에게 밀리고 있는 바이든에게 유리할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 입장에서는 대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늦을수록 유리하다.
이러한 상황을 의식해서 인지 파월은 자국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는 결정을 내릴 때 정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며 “정치라는 요인을 고려한다면 경제적 결과는 더 나빠질 수 있다”고 말하며 대선과의 관계에 선을 그었다.
미국에서는 이미 연중의 금리 인하는 시간문제라고 보고 있다. 2022년 6월 기준 9.1%에 달했던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이 지난해 6월 들어 3%대로 안정되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1년에 8번 열린다. 지난달 31일 5.25~5.50%인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3월 인하도 어렵다고 보고 있다. 물가 상승세와 고용 시장이 아직 식지 않은 것이 원인인데 일단 시장에서는 5월 이후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이럴 경우 민주당 입장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실제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일부 민주당원들은 연준이 높은 금리를 너무 오래 유지해 바이든 재선이 위태로워질까 봐 긴장하고 있다”고 했다. 반면에 트럼프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 등 민주당을 돕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내가 대통령이 되면 정치적인 그를 의장으로 다시 임명하지 않겠다”고 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