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파껍질이 면역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인 'Antioxidants'(IF=7.7)와 'Nutritional Research and Practice'(IF=2.4)에 실렸다. 관련 기술은 특허출원 됐다.
26일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농진청 산하 국립농업과학원과 서울대, 이화여대, 한양대, 순천대, 전남도 농업기술원, 무안군 농업기술센터, 식품기업 푸드웰과 함께 그동안 버려지던 양파껍질이 면역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효과가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양파껍질 추출물을 면역세포 중 하나인 대식세포에 적용하자 면역세포가 배 이상 활성화된 것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이후 동물 실험을 거쳐 양파껍질의 유의미한 효능을 확인하고 면역력이 저하된 성인 80명을 대상으로 2022∼2023년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의 스트레스는 29%, 감염 증상(감기, 편도염, 인후염 등)은 35.2% 줄었으며, 면역 향상을 자각하는 정도는 9%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양파껍질을 이용한 간편식 개발을 지원하고 최근 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했다. 현재 시중에 양파껍질이 함유된 유자차, 콜라겐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조만간 양파껍질 간장, 양파 전초(어린 양파 전체)를 이용한 젤리 등도 출시될 예정이다.
김진숙 농진청 기능성식품과장은 "그동안 버려지던 양파껍질의 기능성 정보를 확인하고 소재화 기술을 개발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농산부산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과 이를 뒷받침할 제도가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한편, 양파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주요 채소 중 하나로 국내에서 양파 소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버려지는 양파껍질도 증가 추세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양파 생산량은 117만3000t이다. 양파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버려지는 양파껍질은 양파 전체의 18~26% 수준이다.
앞서 잘 마른 양파껍질은 오래전부터 음료 원료로 쓰인 바 있다. 직접 먹을 수 있는 부위보다 최대 100배 많은 플라보노이드가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강력한 항산화와 면역조절 효과가 탁월한 쿼세틴이 다른 열매채소보다 많이 함유된 것으로 보고돼 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옆 차선에 타조가?" 도심 타조 출몰에, 얼룩말 '세로' 재조명
- "결혼해도 애는 글세"…미혼남녀, 무자녀 희망 이유보니
- "조국 '고마 치아라'는 일본말?" 발언 앵커, 네티즌 '비난' 쇄도
- 세종갑 김종민, 민주당 당원들에게 사과한 이유는?
- 인요한 "조국 尹 끌어내린다는 언급, 반민주적"
- 피부 젊어지려면 어떤 음식 먹어야 할까?
- 여의도 정치 끝? 한동훈이 쏘아올린 국회 세종 이전
- "맏이야 믿는다"... 장녀·장남 콤플렉스 진짜 있었다
- 갱년기 타파 위한 궁극의 식단 가이드
- 비염 알레르기 완화하는 코 세척, 자칫 사망까지?
- "안녕 우리를 기억해줘"...中가는 푸바오의 마지막 송별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