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이 삐걱거리는 가운데 의료계 내부에서도 참여를 두고 고심이 깊은 모양새다. 7일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에서 나올 메시지가 변수가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지만, 윤 대통령이 여전히 의료개혁 등 4대 개혁 완수 의지를 고수하고 있어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다.
6일 의료계에 따르면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 소속 일부 의대 학장들은 전날 온라인 임시 이사회를 열고 여야의정 협의체 등 현안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 그러나 2시간가량 회의에서 결과물은 나오지 않았다. 회의에 참석한 한 의대 학장은 "앞으로 결론이 언제 날지도 알 수 없어서 협의체 시작부터가 지난하다고들 했다"고 전했다.
앞서 의대협회는 대한의학회와 함께 지난달 22일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해 전문가 단체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지난달 29일엔 의대협회가 참여의 선결 조건으로 내건 '각 대학의 의대생 자율적 승인'을 교육부가 받아들였다. 이에 의대협회도 반기면서 협의체 출범은 순항할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의정 갈등의 핵심인 전공의 단체의 불참을 이유로 참여를 망설였다. 이에 더해 다른 의사단체들도 참여 뜻을 밝히지 않았다. 이렇다 보니 여당의 예고대로 협의체는 오는 11일 출범하더라도 제 구실을 못하는 반쪽 협의체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편 의료계는 7일 윤 대통령의 대국민담화·기자회견 메시지에 주목하고 있다. 의대협회 관계자는 "대통령이 회견에서 무슨 말을 할지 모르겠다"면서도 "당일 대통령의 발언이 (사태 해결에) 절대 좋지 않을 거라고 예상하는데, 발언 내용에 따라 다 뒤집힐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에도 큰 변화는 없는 상황이다. 의대협회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의대생들의 내년 복귀 여부를 알 수가 없다"며 "학생들과 대화 창구가 막혔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4일 페이스북을 통해 "(휴학 의대생들이) 내년에도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또 "사직한 전공의들 역시 내년 3월이면 입대해야 한다"며 "그들이 떠난 자리, 함께 고생했던 동료들을 두고서는 나도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