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개최한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을 하며 기자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개최한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을 하며 기자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이달 중순으로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의 해외 순방에 김건희 여사가 동행하지 않기로 했다. 김 여사의 활동을 보좌할 제2부속실을 공식 출범시켰다. 7일 윤석열 대통령의 담화 및 기자회견에 따른 후속조치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여사가 윤 대통령의 다음 순방에 동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어제 대통령 담화 및 기자회견의 후속 조치"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김 여사의 대외활동과 관련, "저와 핵심 참모 판단에 국익과 관련해 꼭 해야 하는 것이 아닌 활동은 사실상 중단해 왔고 앞으로도 중단할 것"이라며 "국민이 싫다면 대외활동을 안 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기조에 따라 김 여사는 이달 중순 순방에 동행하지 않으며, 연말까지 국내 활동도 전혀 하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여사는 앞으로 대통령의 배우자가 참석 대상인 특정 외교 행사 등 꼭 필요하다고 내부에서 판단하는 외교 활동만 할 전망이다.

상대국 정상 배우자가 참석하는 외교 행사는 김 여사가 불참하면 결례가 될 수 있어 그런 경우에 한정해 참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김 여사 활동 보좌를 담당하는 제2부속실장에는 장순칠 전 시민사회비서관이 임명됐다. 제2부속실에 영부인의 집무 공간은 따로 두지 않고, 외부 귀빈을 맞는 접견실과 직원들의 업무 공간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제2부속실 직원은 장 실장을 포함해 한자릿수로 알려졌다.  과거 청와대 시절 제2부속실에는 영부인 집무실(무궁화실)이 있고 역대 영부인 사진들이 걸렸다. 이와 달리 김 여사 제2부속실은 최소 조직으로 꾸리고 업무 폭도 과거보다 줄인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윤 대통령이 전날 회견에서 밝힌 대로 윤 대통령과 김 여사의 외부 연락·소통 방식을 고치기로 했다. 윤 대통령과 김 여사는 조만간 취임 전부터 써온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교체할 것으로 전해졌다. 개인 전화로 명태균씨 등 외부 인사들과 연락한 이전과 같은 '사적 소통' 논란을 차단한다는 취지에서다.

윤 대통령과 김 여사는 개인 전화를 교체하고 앞으로 외부 연락을 최대한 공식적인 창구로 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