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광역시에 있는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5.18 관련 단체들의 반발로 18일 당일 기념식 참석이 사실상 무산되자 전날 찾아간 것이다.
이날 광주 북구 운정동의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은 김문수 후보는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었다. 이어 김 후보는 5·18 당시 시민군 대변인 역할을 했던 고(故) 윤상원 열사 묘역과 전남대 총학생회장으로 단식투쟁 중 옥중 사망한 고(故) 박관현 열사 묘역을 참배하다 잠시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노동운동가 출신의 김문수 후보와 박관현 열사는 비록 시기는 달랐지만 광주교도소 같은 독방에 수감된 인연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김문수 후보는 "제가 박관현 열사 방에서 수감 생활을 했다"며 "박관현 열사가 죽은 뒤 제가 들어가서 1년 동안 생활했다"고 당시 상황을 회상했다.
김 후보는 전두환 정권때인 1986년 직선제 개헌 투쟁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돼 1988년 10개월간 박 열사가 갇혔던 방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출소한 바 있다.
한편 김문수 후보의 이날 참배에는 김용태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해 호남 출신의 이정현·양향자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인요한 호남특별위원장 등이 함께 했다. 다만 이날 김 후보의 5.18 민주묘지 방문을 앞두고 5.18 관련 단체들이 '민주의 문' 앞에서 김 후보의 방문을 반대하는 시위를 벌여 소란이 일기도 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이소진 기자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윤석열 자진 탈당 "김문수에게 힘 모아달라"
- 장(腸)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7가지 방법
-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부정 조짐 보인다"
- 김용태, 홍준표 향해 “보수 재건 주춧돌 돼달라”
- 김문수 캠프 전략통, 과거 KH그룹 계열사 재직 논란
- 무당층 비율 높은 2030 청년 표심 잡으려면?
- “유방암 환자 증가, 한국이 가장 빨라” 한원식 서울대병원 교수
- '건강 척도' 위와 장이 망가진 적신호
- 아침 공복에 마시면 도움되는 음료 4가지
- "청춘을 바친 군인 존중하는 사회 돼야"
- 새 교황 레오 14세 배출한 '리버럴의 도시' 시카고
- 김상욱 "오늘 민주당 입당"... 탈당 10일만에
- '계몽됐다' 尹 변호사 김계리, 국민의힘 입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