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상 초유의 행정전산망 마비 사태로 이어진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가 권장 사용기간을 1년이나 넘겼던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화재가 난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배터리는 지난 2014년 8월 국정자원 전산실에 설치됐다. 해당 배터리의 권장 사용연한은 약 10년으로 설치 시점을 고려하면 이미 1년 가량 연한을 넘긴 상태다. 화재가 난 해당 배터리는 리튬배터리로, 제조사는 LG에너지솔루션으로 확인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번 화재는 작업자 13명이 5층 전산실에 있는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행안부와 소방당국은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불꽃이 튀었다고 설명했지만, 아직 정확한 사실관계 규명은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작업자의 실수가 화재로 이어졌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UPS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옮기거나 취급할 때 전원을 완전히 꺼야하는데, 전원을 끄지 않은 채 케이블을 분리하면서 화재가 발생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다만 이 역시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
한편 소방청은 조만간 국립수사과학연구원, 경찰 등과 함께 화재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합동 감식에 나설 예정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정확한 화재 조사를 아직 시작하지 않았다"며 "전원이 차단돼서 화재가 발생했는지 다른 요인이 있었는지는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이소진 기자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