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월 15일부터 3월 8일까지 52일간 경기도 의왕 서울구치소에 수감돼 있던 ‘1차 구속’ 기간 동안, 전담 교도관 7명을 배정받아 사적인 심부름과 생활 지원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30일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의 석방 약 한달 뒤 실제 교도관만 글을 작성할 수 있는 한 온라인 게시판에 '탄핵 후 법무부에서 감사해야 할 일들'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의 작성자는 “서울구치소 측이 교정보안직원 7명을 징발해 윤 전 대통령의 심부름꾼과 사동 도우미로 활용했다”며 “직원들을 3부제로 편성해 24시간 수발을 들도록 지시한 근거와 책임자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해당 글에서는 이 외에도 외부 미용사의 구치소 출입, CCTV가 설치되지 않은 혼거실 단독 사용, 허가받지 않은 차량의 구치소 진입 등 총 7가지 비위 의혹이 함께 제기됐다.
장경태 의원은 “교도관들이 윤 전 대통령에게 편지를 전달하고 물을 떠다 주는 등 개인적 수발을 들었다는 제보가 있었지만, 해당 기간의 근무일지가 없어 사실관계를 추가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이었던 점을 고려할 때, 경호처의 공문이 구치소 측에 압력으로 작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구속된 직후 대통령 경호처가 “보안업무규정에 따라 내부 정보 유출 시 관련자가 처벌받을 수 있다”는 내용의 공문을 서울구치소에 발송한 사실도 확인됐다.
이와 관련 법무부는 “교도관들이 윤 전 대통령에게 물을 떠다 주는 등의 잡일을 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면서도 “근무일지 미작성 등 부적절한 사실이 확인돼 현재 엄정한 감찰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