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준연동형 선거제’로 4월 총선을 치르기로 한 가운데, 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이 “본인들도 못 지킬 선거제 만들어 놓고 국민한테 강요하는 한마디로 장고(長考) 끝에 꼼수”라고 정면 비판했다.
나경원 전 의원은 지난 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난 20대 국회, 민주당은 공수처법 통과를 위해 국민은 물론, 선거제를 만드는 국회의원조차 제대로 이해도 설명도 못하는 준연동형 제도를 도입했다”며 “이 누더기와 같은 선거제로면 누가 또 국회에 발을 들일지 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한민국 정체성을 부정하고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횡령 혐의로 재판 중인 윤미향 의원, 조국 전 장관의 아들에게 허위 인턴확인서를 발급한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한 최강욱 의원, 이재명의 민주당에서는 아마도 더 센 사람들이 나타날 것”이라고 꼬집었다.
나 전 의원은 ‘위성정당’ 난립의 토양이 된 이재명 대표의 ‘준연동형 선거제’ 고수 방침을 비판하면서 과거 ‘준연동형’ 선거법 통과 과정도 복기했다. 나 전 의원은 “당시 원내대표로서 수차례 내용, 절차상 위헌성을 지적했고 헌정사의 오점임을 외쳤고, 위헌적인 선거제를 어떻게든 막아보려 다수 권력에 저항했다”며 “처절하게 밀리고 밀려 끝내 막지 못했지만, 그때 우리 당이 국민과 함께 했던 시간들이 정권교체의 뿌리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회상했다.
나 전 의원은 지난 2019년 자유한국당(국민의힘의 전신) 원내대표 시절,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당의 준연동형 선거제 개편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등 검경 수사권 조정에 맞서 국회에서 강경하게 저항한 바 있다.
국회 다수당인 민주당이 ‘준연동형 선거제’로 방향을 잡으면서 오는 4월 총선에서도 이른바 ‘선거용 위성정당’들이 난립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표는 선거제에 대한 입장을 밝히면서 사실상의 위성정당인 “통합비례정당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측은 민주당이 ‘준연동형 선거제’를 고수할 경우, ‘위성정당’을 만들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오래 전부터 밝혀왔다.
한편, 오는 4월 총선에서 서울 동작을에서 출마하는 나경원 전 의원은 “의원 꿔주기, 가짜정당 난립, 선거구 획정안 장기표류 등 꼼수정치의 토양이 된 기형적 선거법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22대 국회에서 일할 기회를 주신다면 선거제 개혁의 약속을 놓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